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 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16,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을 잘하고 싶습니다.


 

280. 견뎌내야 할 시련과 물리쳐야 할 유혹을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281.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쉽게 설명해 주세요.

282. 미사가 크나요기도가 크나요본당 신부님은 기도가 더 크다고 하시면서 계속 기도하면 언젠가는 은혜 받는다고 말씀하시던데정말입니까?

283.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284. 중학생입니다메스컴의 영향 탓인지 성()이 더럽고 역겹습니다.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자녀와 종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286. 부모님들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반 학기가 다 지나간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287.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288.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문제 44)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속 좁고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291. 요즘 연예인들의 혼전관계 사실이 공공연히 보도됩니다이제 혼전관계는 숨겨야 할 일도 아니고 죄도 아니라는 느낌이 듭니다.

292.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294.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295.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대답을 못했습니다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296.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 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교회는 선과 악이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진리로 받아들입니다.
단언컨대 선과 악은 한 인격적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마음속으로 악을 지향하는 것만으로 우리의 선은 파괴됩니다.
선에 의해서 참된 현실을 실현시킬 수 있듯이 악을 쫓음으로써 삶을 망칠 수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입니다.
악의 세력은 인간과 하느님의 관계를 끊어놓기 위해서 호시탐탐 노리는 사탄의 시선입니다.
세상의 윤리적 질서를 파괴하려는 사탄의 작업입니다.
갖은 수단을 동원하여 인간의 주관적 의지를 무너뜨리는 사탄의 힘입니다.
하느님과 이웃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기 위한 거짓의 수단을 멈추지 않습니다.
이렇듯 악은 실재합니다.
우리들을 진리에서 동떨어지도록 유혹합니다.
때문에 교회는 인간 의지로써 선을 쫓고 악을 거부할 것을 가르칩니다.
선과 악에 밝아 올바른 인격을 갖출 것을 요구합니다.
이순신 장군의 전략은 상대를 죽이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악을 향한 도전이며 저항이기에 명백한 입니다.
자신의 영달이 아닌 민족의 안녕을 위한 사랑과 정의의 선택이기에 입니다.
불교는 절대적 존재를 믿지 않습니다.
때문에 온 우주를 상대적인 현상으로 관찰할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