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을 잘하고 싶습니다.


 

280. 견뎌내야 할 시련과 물리쳐야 할 유혹을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281.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쉽게 설명해 주세요.

282. 미사가 크나요기도가 크나요본당 신부님은 기도가 더 크다고 하시면서 계속 기도하면 언젠가는 은혜 받는다고 말씀하시던데정말입니까?

283.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284. 중학생입니다메스컴의 영향 탓인지 성()이 더럽고 역겹습니다.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자녀와 종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286. 부모님들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반 학기가 다 지나간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287.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288.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문제 44)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속 좁고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291. 요즘 연예인들의 혼전관계 사실이 공공연히 보도됩니다이제 혼전관계는 숨겨야 할 일도 아니고 죄도 아니라는 느낌이 듭니다.

292.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294.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295.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대답을 못했습니다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296.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여의치 않은 삶으로 상처받은 이를 감싸주지 못하는 편협한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다친 영혼을 보살펴주기는커녕 상처를 입히고 걸림돌을 놓는 모습들... 가슴이 아픕니다.
교우들에게 따돌림 받고 판단 받은 쓰라림을 어떻게 위로해야할지 난감합니다.
자매님, 교회는 사회에서 이혼을 했더라도 다른 사람과 동거하고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별거로 인정합니다.
따라서 성사생활에는 어떠한 제약이나 제한이 없습니다.
용기를 내어 당당하게 신앙생활을 하도록 하십시오.
한계를 지닌 인간의 판단은 전혀 힘이 없으니소문에서 자유하기 바랍니다.
이혼을 하면 본당 활동을 할 수 없다는 무지로 상처를 준 상대의 모자람을 너르게 용서하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명심할 점은 그리스도인은 누군가에게 괴롭힘을 당하더라도 똑같이 이에는 이로갚으려 대응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주님께서는 참고 인내하며 기꺼이 십자가를 지고 그분을 따르도록 힘을 주고 계십니다.
주님께서는 이제껏 겪으신 자매님의 모든 아픔을 모아모아 자매님의 삶을 거룩한 그릇으로 빚고 계십니다.
더 성숙하고 아름다워지시길 기도합니다.

 

문제 44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 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활동을 못합니까?

 

44-1) 교회법에는 혼인에 있어서 당사자의 자격이나 절차 이행 등에 따라 위반 여부를 따지지만 이혼에 대해서는 교회법에서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혼은 사회법상 결합관계가 해소되는 것을 말하지만 교회법에서의 이혼 후 다른 이성과 동거를 하지 않는다면 별거로 인정하여 위법으로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사생활에는 어떠한 제약이나 제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재혼하기 위해서는 교구법원에서 이전 혼인에 대한 혼인무효판결을 받은 후 혼배를 받아야 적법한 혼인이 됩니다.
교회법에 따르지 않고 혼인한 경우에는 교회법에서 무엇이라 합니까?

 

) 조당(阻擋) 또는 혼인장애(婚姻障碍) 교회법 (1108~11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0 45
»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문제 4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5
260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259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5
258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6 45
257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4 45
256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8 44
255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9 44
254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3 44
253 322.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6 43
252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0 43
251 8.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불의한 일에도 적용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8 43
250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0 42
249 230. 미사전례 중 사람이 쓰러졌는데도 계속 미사만 진행하는 모습에 실망했습니다. 잠시 중단하고 환자를 배려하는 게 도리가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42
248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247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문제 25)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1 42
246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8 42
245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41
244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 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6 41
243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2 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