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을 잘하고 싶습니다.


 

280. 견뎌내야 할 시련과 물리쳐야 할 유혹을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281.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쉽게 설명해 주세요.

282. 미사가 크나요기도가 크나요본당 신부님은 기도가 더 크다고 하시면서 계속 기도하면 언젠가는 은혜 받는다고 말씀하시던데정말입니까?

283.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284. 중학생입니다메스컴의 영향 탓인지 성()이 더럽고 역겹습니다.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자녀와 종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286. 부모님들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반 학기가 다 지나간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287.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288.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문제 44)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속 좁고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291. 요즘 연예인들의 혼전관계 사실이 공공연히 보도됩니다이제 혼전관계는 숨겨야 할 일도 아니고 죄도 아니라는 느낌이 듭니다.

292.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294.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295.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대답을 못했습니다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296.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자녀, 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하느님 생각에 몰두해 있는 3 친구의 모습이 참 어여쁩니다.
문득 친구면 친구지... ‘은 또 뭐야?”라는 생각을 했던 모양인데요.
우리는 틀림없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분명히 그리스도의 친구입니다.
그런데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필리 2,6-7) 세상의 종이 되셨습니다.
죄의 사슬에 묶여 죄의 종노릇을 하는 비참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목숨을 바치신 것입니다.
이 진리를 깨친 이는 세례로써 주님의 뜻에 순명하는 으로 살 것을 약속합니다.
그분께서 그러하셨듯이 나보다 못하고 약한 이들에게 군림하지 않는 사랑의 종으로 살 것을 다짐합니다.
때문에 그리스도인은 죽음으로 이끄는 죄의 종이 아니라 의로움으로 이끄는 순종의 종”(로마 6,16)이 됩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이라 하는 것은 당신의 노예로 삼겠다는 표현이 아니라 당신의 은총을 입은 당신의 소유로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앞서 제가 친구라고 적은 것을 신부가 평신도를 어떻게 친구라고 하지?”라며 의아해하지 않은, 바로 그 마음으로 받아들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문제 2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0
301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300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 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299 308. “정말로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 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 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2 10
298 92. 신부님의 설명에 의하면 묵주기도의 탄생이 시편이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면 성모님과는 썩 깊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3 11
297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7 11
296 146. 예수님께서는 가난하게 살라고 하셨는데 장래를 위해서 저축하는 일은 괜찮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1
295 160. 곧 세례 받을 날이 다가오는데 교리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 영세를 미루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294 166. 그리스도인은 세례로써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 계속 고해성사를 통해서 죄를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하느님의 구원이 은총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로 얻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293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1
292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 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 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 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1
291 257.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1
290 268.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 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1
289 274. 친정 어머니께서 비르지타 15기도를 열심히 바치십니다. 구원을 약속하신 15인에 ‘사위’도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1
288 288.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 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 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1
287 312. 코로나19로 마음이 불안합니다. 성당에 가는 것도 두려워 방송미사로 대체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강론도 듣게 되어, 마음이 윤택해지는 기분입니다. 점점 더 성당에 갈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이렇게라도 신앙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그릇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6 11
286 330. 가경자 최양업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6 11
285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 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6 12
284 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3 12
283 131. 묵은 신자입니다. 하지만 전례 중에 앉고 일어서는 이유를 모른 채 따라서 합니다. 부끄럽지만 용기를 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0 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