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을 잘하고 싶습니다.


 

280. 견뎌내야 할 시련과 물리쳐야 할 유혹을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281.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쉽게 설명해 주세요.

282. 미사가 크나요기도가 크나요본당 신부님은 기도가 더 크다고 하시면서 계속 기도하면 언젠가는 은혜 받는다고 말씀하시던데정말입니까?

283.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284. 중학생입니다메스컴의 영향 탓인지 성()이 더럽고 역겹습니다.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자녀와 종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286. 부모님들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반 학기가 다 지나간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287.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288. 딸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 매사 일이 꼬입니다저희 잘못 탓이라 싶어서 봉사활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은데딸은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두려워합니다.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문제 44)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속 좁고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291. 요즘 연예인들의 혼전관계 사실이 공공연히 보도됩니다이제 혼전관계는 숨겨야 할 일도 아니고 죄도 아니라는 느낌이 듭니다.

292.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294.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295.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대답을 못했습니다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296.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297.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자녀, 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하느님 생각에 몰두해 있는 3 친구의 모습이 참 어여쁩니다.
문득 친구면 친구지... ‘은 또 뭐야?”라는 생각을 했던 모양인데요.
우리는 틀림없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분명히 그리스도의 친구입니다.
그런데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필리 2,6-7) 세상의 종이 되셨습니다.
죄의 사슬에 묶여 죄의 종노릇을 하는 비참한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서 목숨을 바치신 것입니다.
이 진리를 깨친 이는 세례로써 주님의 뜻에 순명하는 으로 살 것을 약속합니다.
그분께서 그러하셨듯이 나보다 못하고 약한 이들에게 군림하지 않는 사랑의 종으로 살 것을 다짐합니다.
때문에 그리스도인은 죽음으로 이끄는 죄의 종이 아니라 의로움으로 이끄는 순종의 종”(로마 6,16)이 됩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이라 하는 것은 당신의 노예로 삼겠다는 표현이 아니라 당신의 은총을 입은 당신의 소유로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앞서 제가 친구라고 적은 것을 신부가 평신도를 어떻게 친구라고 하지?”라며 의아해하지 않은, 바로 그 마음으로 받아들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6
341 234. 자식에게 소홀했습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훌륭한 사제를 삶의 멘토로 정해주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가능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6
340 239. 한 블록 건너 성당과 교회가 판치는 거리에서 돈을 더 벌기 위해 필요하지도 않은 거대한 성당을 짓기보단, 매일 한 끼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기부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6
339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6
»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자녀와 종, 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6
337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6 6
336 137. 시어머니께서 아들 낳는 법이라며 ‘민간요법을 하라’고 권하십니다. 따라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6 7
335 147. 자영업자입니다. 성경에서는 안식일에 일을 하면 죄라고 하던데, 주일에는 영업을 쉬는 게 옳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7
334 178. 성지순례 중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님과 함께 ‘안젤루스’ 기도를 바쳤습니다. 이 기도가 삼종 기도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7
333 시편 11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7
332 240. 인류가 진화했다는 모든 증거들이 잘못되고, 다윈은 거짓말쟁입니까? 박물관에 있는 것도 모두 거짓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7
331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 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 고민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7
330 287.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7
329 129. “시복 시성을 위한 도보순례”라는 조끼를 입고 걷는 단체가 있던데 시복시성이 무엇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7 8
328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8
327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326 201.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 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325 215. 성경에는 성모몽소승천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8
324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323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