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정말 헷갈립니다.


 

265.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266.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268.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271. 우리 조상들의 부엌 신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성인이나 본당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272.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고쳐줄까요?

274. 친정 어머니께서 비르지타 15기도를 열심히 바치십니다구원을 약속하신 15인에 사위도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276. 타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279. 29세 청년입니다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 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이런 의문은 종종 하느님을 부정하고 성경을 폄하시키기 위해서 세상이 애용하는 지론입니다.
때문에 신앙인들에게 곧잘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우선 구약의 표현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느님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하여 당시의 수준에 맞추어 설명되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아울러 사랑이신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본질을 숨기지 못하시고 수많은 예언자들을 동원하여 당신의 자비를 지속적으로 전하셨다는 점을 생각해보세요.
그리 살피면 구약과 신약의 가르침은 동일하다는 것,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뜻을 더 명료하고 깊이 있게 풀이해 주셨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사랑이시기에 당신의 아들 을 세상에 보내셨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주님이시라고 입으로 고백하고 하느님께서 예수님을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일으키셨다고 마음으로 믿으면 구원을 받을 것”(로마 10,9-10)이라는 엄청난 복음을 선포하셨습니다.
이야말로 가장 뚜렷한 하느님 사랑과 자비의 징표입니다.
외아들 예수님을 우리를 위하여 기꺼이 희생 제물로 삼으셨다는 사실은 구약의 단호한 으름장이 똑같은 하느님 사랑의 표현임을 알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 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6
181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 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2
180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1
179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문제 3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8
178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5
177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 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9
176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175 166. 그리스도인은 세례로써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 계속 고해성사를 통해서 죄를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하느님의 구원이 은총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로 얻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174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25
173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172 163. 저희 본당은 해설자의 멘트가 없이 침묵시간을 갖습니다. 왜 타 본당에서는 매일미사에 있는 묵상글을 읽거나 음악 연주 등으로 침묵 시간을 빼앗는지요. 좋은 말과 음악이 묵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예수님과의 대화시간을 없애는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8
171 162. 퇴장 성가로써 미사가 종료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신자들도 퇴장할 수 있지 않나요? 그런데 영광송으로 다시 마침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6
170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8
169 160. 곧 세례 받을 날이 다가오는데 교리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 영세를 미루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168 159. 신앙을 강요할 수 있습니까? 아이가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유아세례를 주지 않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2
167 158. 사순절(四旬節)이 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인가요? (문제 3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4
166 157. “기복적인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야베츠는 복을 빌어 응답받지 않았습니까? 복을 얻어 복을 끼치고 살면 좋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5
165 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 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문제 3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9
164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문제 2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0
163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