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정말 헷갈립니다.


 

265.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266.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268.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271. 우리 조상들의 부엌 신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성인이나 본당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272.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고쳐줄까요?

274. 친정 어머니께서 비르지타 15기도를 열심히 바치십니다구원을 약속하신 15인에 사위도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276. 타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279. 29세 청년입니다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276. 타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간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종교는 인간의 삶을 치장하는 악세사리가 아니라 근본적 사고와 행동을 결정짓는 이정표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종교간의 대화는 하나의 지구를 행복으로 이끌기 위한 인류애적 안녕을 위한 행위이며 교회의 당면과제입니다.
다소 어렵고 힘들더라도 포기할 수 없는 그리스도인의 사명인 것입니다.
때문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은 우리 모두가 대화의 사람으로 살아갈 것을 요청하셨습니다.
서로 다른 문화와 다양한 종교 탓에 분열로 치달아 상처받은 세상의 치료제가 될 것을 당부하신 것입니다.
종교간의 대화는 상대의 말을 성실히 듣는 일에서부터 시작해야합니다.
소통을 위해서 자기 주장에 상대를 굴복시키려는 의도를 배제시켜야 합니다.
언젠가는 내 편을 만들겠다는 의도도 금물입니다.
아울러 나의 생각, 원의, 내가 하려고 하는 모든 것을 부차적으로 미루는 여유를 지녀야 합니다.
, 종교간의 대화는 진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복음적 행위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종교간의 대화는 서로 적당히 양보하는 타협이 아니라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이렇듯 진정한 대화의 자세를 갖추기 위해서는 나를 온전히 비워내는 영웅적 행위가 요구됩니다.
부디 상대를 충분히 존중하는 진리의 증인으로서 꾸준하고 성실하게 복음의 기쁨을 전하는 대화의 명인으로 성장하시길 기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281.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쉽게 설명해 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3
181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3
180 136. TV에서 가톨릭 신앙인이 무속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영세를 받은 사람에게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5 23
179 130. 혼자 세례를 받았습니다. 종교가 다른 부모님의 반대가 심한데 어찌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8 23
178 3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1 22
177 263. 본당 신부님께서 자기 축일에도 미사를 넣는 게 좋다하셨지만 스스로 축복을 받으려는 모습이라 선뜻 내키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22
176 222. 성당을 다니다가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이지요? 그런데 성당 다닐 때보다 더 열심히 활동하는 동생과 친구를 보면 하느님을 깨닫고 열심히 다니면 되는 것이라 싶네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2
175 213. 김대건 신부님의 축일이 왜 7월 5일인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 (문제 3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2
174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 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2
173 68.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6 22
172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5 22
171 337. 전교를 하다보면 “신앙생활이 어떤 유익을 주나?”라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 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3 21
170 282. 미사가 크나요? 기도가 크나요? 본당 신부님은 “기도가 더 크다”고 하시면서 계속 기도하면 언젠가는 은혜 받는다고 말씀하시던데, 정말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1
169 245. 성전의 장궤틀에 만들어 놓은 가방걸이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장궤틀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나사로 박아 놓은 가방걸이는 장궤틀을 단순한 의자로 생각하여 설치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편의상 무릎을 끓을 수 있는 틀을 없애고 의자용도로만 만드는 것... 편의대로만 한다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가방걸이를 없애면 좋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1
168 184.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 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21
167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1 21
166 325.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 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 관면 혼배 등의 절차를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1 20
165 309. 왠지 하느님께서는 저를 용서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3 20
164 190. 송구한 마음에 성체를 영하지 않았는데 “너 무슨 큰 죄 지었노?”라는 대부님 말씀을 들은 후부터 시선을 의식합니다. 덥썩 성체를 모셔 버립니다. 잘못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0
163 148. 성당에서 맡은 일이 버겁습니다. 시간도 능력도 모자란데 하는 수 없이 맡고 보니 겁이 납니다. 이래도 순명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0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