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정말 헷갈립니다.


 

265.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266.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268.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271. 우리 조상들의 부엌 신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성인이나 본당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272.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고쳐줄까요?

274. 친정 어머니께서 비르지타 15기도를 열심히 바치십니다구원을 약속하신 15인에 사위도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276. 타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279. 29세 청년입니다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267. 어떻게 하느님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질문을 받고서 문득 공기에 색깔이 없는 이유가 생각났습니다.
보이지 않고 잡히지 않으나 세상을 가득 채우는 공기처럼 하느님께서도 우리 곁에 옆에 위에 아래에 온통 충만하다는 말 외에 어떤 설명을 덧달 수 있을지 고민되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눈에 보이는 것만 믿으려는 우리의 속성을 아시기에 귀로 들어야만 깨닫는 우리의 한계를 십분 감안하시어 성경을 기록해주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때문에 말씀이 곧 주님이심을 선포하신 것이지요.
뿐만 아니라 늘 교회의 목소리와 자연과 이웃을 통해서 다양하게 당신을 알려주고 계십니다.
물론 그분의 손길에 예민하도록 마음을 깨우려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세상 소음보다 낮은 그분의 음성을 듣기 위해서 온 감각을 주님께로 조율해야 합니다.
주님을 깨닫고 느끼기 위해서는 그분만을 향하는 훈련이 큰 도움이 됩니다.
물론 믿음이야말로 주님을 느끼는 가장 탁월한 수단입니다.
나는 어렸을 때는 하늘에서 온 빛에 눈을 응시함으로써 하느님을 찾았습니다. 어른이 되었을 때는 광야의 발자취를 따라 걸으며 그분을 찾았습니다,
삶의 끝에 와 있는 지금은 눈을 감는 것으로 족합니다. 그러면 나는 그분을 내 안에서 발견합니다라는 까를로 카레토 수사님의 고백에 확, 느낌이 오기를 원해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143. 하느님께서는 왜 모든 사람을 이쁘게 만들지 않고 저처럼 못난 사람을 섞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1 16
121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3 16
120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 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 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7 15
119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8 15
118 237. 독서자 중에 ‘하느님’을 ‘하나님’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문제 4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5
117 216.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 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5
116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115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 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114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유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5
113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112 150. 미사의 독서와 복음의 선택 기준이 무엇입니까? (문제 2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111 140. 현실도피와 성소를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요? '그럴 자격이 있는지’ 의아하고 ‘화려한 것 좋아하고 최신유행을 쫓는 직업을 가진 제가 어떻게 이런 생각을 갖는지’ 의문스러울 뿐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9 15
110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4 15
109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 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 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0 14
108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 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 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4 14
107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105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4
104 243. 냉담을 풀고 의무적인 신앙생활을 했는데 이제는 제 십자가도 기꺼이 지겠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직장 때문에 주일에만 성당에 갈 수 있는데요. 제 건강상 월 2회 산악회 등반을 해야 합니다. 어떻게 하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4
103 235. 미사 참례시에 주변 교우분의 지나친 화장품과 염색약, 퍼머약 냄새로 너무너무 고통스럽습니다. 어쩌면 저 혼자 감내해야 할 개인의 체질적인 사안인지 모릅니다만, 대중이 모여 참례하는 미사에서는 지나친 냄새를 피우지 않는 것도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4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