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너무 복잡합니다.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문제 41)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250.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납득이 어렵습니다교리 선생님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문제 42)

251. 착하게 살면 되지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고민됩니다.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256. 늘 방송과 글을 통한 신부님의 가르침에 감사드리는 신자입니다.^^ 그런데 성경읽기를 너무 강조하십니다꼭 성경을 읽어야만 좋은 신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나요성경을 읽지 않는 사람은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겠지요?

257.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259. 성탄절을 왜 크리스마스라고 하나요?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263. 본당 신부님께서 자기 축일에도 미사를 넣는 게 좋다하셨지만 스스로 축복을 받으려는 모습이라 선뜻 내키지 않습니다.

264. 예비신자입니다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문제 43)

 

264.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인간의 내면에는 하느님에게로부터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서 멀어지도록 이끄는 이기심과 무관심이 자리해 있습니다.
곧 원죄입니다.
이러한 악의 경향에 타협하고 허락하는 것이 나약한 인간의 본성입니다.
따라서 인간에게는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우리에게 선물된 성사, 특히 세례성사가 필요하고 고해성사가 요구됩니다.
유념할 일은 죄는 내 스스로저지르며 내 결정에 따라 짓는다는 점입니다.
세상 어느 죄도 결코 내 허락 없이는 나를 넘어뜨리지 못합니다.
상황과 처지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죄와의 타협은 나 자신이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죄에 관용적일 때, 죄를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주님의 뜻보다 내 뜻을 귀하게 여긴 결과가 죄인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너무 명료한 주님의 법이 선포되었습니다.
그 법은 이웃을 언제나 사랑할 것과 이웃에게 늘 양보하고 희생할 것과 주님을 최고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우리 인간은 미처 죄인줄 인식하지 못하고 죄에 빠지는 일이 부지기수입니다.
우리는 그분 말씀과 계명이 송이 꿀처럼 달콤한 지경에 이르러서도 죄의 유혹에 시달릴 것입니다.
때문에 더욱 성사가 은총이며 헤아릴 수 없이 큰 복입니다.
핑계대려고 궁리하기보다 핑계거리를 끊어내는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주님께 어서 고하여 도움을 청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문제 43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43-1) 인간의 내면에는 하느님에게로부터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서 멀어지도록 이끄는 이기심과 무관심이 자리해 있습니다. 한마디로 주님의 뜻보다 내 뜻을 귀하게 여긴 결과가 죄인 것입니다. 주님의 법은 언제나 사랑할 것’'과 이웃에게 늘 양보하고 희생할 것과 주님을 최고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분의 말씀과 계명이 송이 꿀처럼 달콤한 지경에 이르러서도 죄의 유혹에 시달릴 것입니다 핑계대려고 궁리하기보다는 핑계거리를 끊어내는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주님께 어서 고하여 도움을 청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주님께 도움을 청하는 것이 무슨 성사입니까?

) 고해성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 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6
181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 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2
180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1
179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문제 3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8
178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5
177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 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9
176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175 166. 그리스도인은 세례로써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 계속 고해성사를 통해서 죄를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하느님의 구원이 은총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로 얻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174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25
173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172 163. 저희 본당은 해설자의 멘트가 없이 침묵시간을 갖습니다. 왜 타 본당에서는 매일미사에 있는 묵상글을 읽거나 음악 연주 등으로 침묵 시간을 빼앗는지요. 좋은 말과 음악이 묵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예수님과의 대화시간을 없애는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8
171 162. 퇴장 성가로써 미사가 종료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신자들도 퇴장할 수 있지 않나요? 그런데 영광송으로 다시 마침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6
170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7
169 160. 곧 세례 받을 날이 다가오는데 교리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 영세를 미루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168 159. 신앙을 강요할 수 있습니까? 아이가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유아세례를 주지 않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2
167 158. 사순절(四旬節)이 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인가요? (문제 3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4
166 157. “기복적인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야베츠는 복을 빌어 응답받지 않았습니까? 복을 얻어 복을 끼치고 살면 좋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5
165 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 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문제 3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9
164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문제 2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0
163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