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너무 복잡합니다.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문제 41)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250.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납득이 어렵습니다교리 선생님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문제 42)

251. 착하게 살면 되지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고민됩니다.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256. 늘 방송과 글을 통한 신부님의 가르침에 감사드리는 신자입니다.^^ 그런데 성경읽기를 너무 강조하십니다꼭 성경을 읽어야만 좋은 신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나요성경을 읽지 않는 사람은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겠지요?

257.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259. 성탄절을 왜 크리스마스라고 하나요?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263. 본당 신부님께서 자기 축일에도 미사를 넣는 게 좋다하셨지만 스스로 축복을 받으려는 모습이라 선뜻 내키지 않습니다.

264. 예비신자입니다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문제 43)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옛 근동지방에서는 새 직책을 부여할 때에 이름을 바꿈으로써 새롭게 시작되는 삶의 의미를 새기도록 하였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아브람과 아내 사라이에게 아브라함과 사라라는 새 이름을 주시며 당신의 뜻을 살아가도록 독려하셨는데요.
예수님께서도 요한의 아들 시몬에게 교회의 반석이 되는 영예를 부여하실 때 베드로라는 새 이름을 선물해 주셨습니다.
교회는 교황이 선출될 때, 그리고 수도자의 허원식에서 새 이름을 부여하며 이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세례를 받는 이들에게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할 새 인간으로 거듭난다는 의미에서 세례명을 정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세례명은 수호성인의 삶에 비추어 지혜를 살아가겠다는 다짐의 징표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 변화되어 하느님의 것으로 분류되었다는 언약의 표지이기도 합니다.
주보성인은 우리들이 튼튼한 믿음으로 건강한 신앙생활을 영위하도록 돕는 내편이니 주님께서 원하는 삶을 살도록 매사에 응원을 청하면 좋습니다.
수호성인께 시시때때로 다가오는 유혹과 시련 중에 주님의 뜻을 택하도록 보호를 요청해도 무방합니다.
그럼에도 성인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하느님께 함께 간구해주는전구에 그친다는 사실을 명심하도록 하세요.
살가운 성인의 전구로써 주님을 더 많이사랑하는 축복을 체험하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143. 하느님께서는 왜 모든 사람을 이쁘게 만들지 않고 저처럼 못난 사람을 섞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1 16
121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3 16
120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 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 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7 15
119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8 15
118 237. 독서자 중에 ‘하느님’을 ‘하나님’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문제 4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5
117 216.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 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5
116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115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 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114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유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5
113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112 150. 미사의 독서와 복음의 선택 기준이 무엇입니까? (문제 2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111 140. 현실도피와 성소를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요? '그럴 자격이 있는지’ 의아하고 ‘화려한 것 좋아하고 최신유행을 쫓는 직업을 가진 제가 어떻게 이런 생각을 갖는지’ 의문스러울 뿐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9 15
110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4 15
109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 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 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0 14
108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 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 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4 14
107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106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4
104 243. 냉담을 풀고 의무적인 신앙생활을 했는데 이제는 제 십자가도 기꺼이 지겠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직장 때문에 주일에만 성당에 갈 수 있는데요. 제 건강상 월 2회 산악회 등반을 해야 합니다. 어떻게 하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4
103 235. 미사 참례시에 주변 교우분의 지나친 화장품과 염색약, 퍼머약 냄새로 너무너무 고통스럽습니다. 어쩌면 저 혼자 감내해야 할 개인의 체질적인 사안인지 모릅니다만, 대중이 모여 참례하는 미사에서는 지나친 냄새를 피우지 않는 것도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4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