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너무 복잡합니다.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문제 41)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250.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납득이 어렵습니다교리 선생님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문제 42)

251. 착하게 살면 되지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고민됩니다.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256. 늘 방송과 글을 통한 신부님의 가르침에 감사드리는 신자입니다.^^ 그런데 성경읽기를 너무 강조하십니다꼭 성경을 읽어야만 좋은 신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나요성경을 읽지 않는 사람은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겠지요?

257.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259. 성탄절을 왜 크리스마스라고 하나요?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263. 본당 신부님께서 자기 축일에도 미사를 넣는 게 좋다하셨지만 스스로 축복을 받으려는 모습이라 선뜻 내키지 않습니다.

264. 예비신자입니다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문제 43)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대부모 전통은 로마제국에서 박해를 당하던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언제 순교할지 모르는 긴박한 상황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자신은 순교할지라도 자녀들이 올바른 신앙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영신적 어버이를 맺어 주었던 것인데요.
교회는 이 전통을 이어 세례성사와 견진성사 때에 영적 후견인을 정하도록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대부모님은 주님 안에서 맺어진 축복의 어버이입니다.
따라서 세례식 이후에도 꾸준히 대자녀 안에 싹튼 여린 신앙을 살펴 튼튼히 자라도록 보호하며 도울 의무가 있습니다.
대자녀가 성사 생활과 교회 활동에 항구할 수 있도록 기도로 응원하는 버팀목의 역할을 감당해야 합니다.
영적자녀가 신앙의 삶을 잘 살아가도록 돕기 위해서는 어버이의 희생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교회가 대부모님께 대자대녀들을 올바른 신앙으로 이끌어갈 것을 엄숙히 언약하도록 하는 이유입니다.
대부모와 대자녀의 관계가 주님 사랑으로 서로 존중하고 독려하는 성가정으로 탄생하는 축복된 일임을 아셨으니, 견진 대부님과는 주님의 뜻 안에서 탄탄히 맺어질 수 있도록 힘껏 기도하기 바랍니다.
세례 대부님처럼 소원해지는 일이 없도록 성숙하고 든든한 자녀가 되실 것도 당부 드리겠습니다.
부디 견진 대부님과의 관계가 꽃다발을 받고 기념사진을 찍는 것으로 마감되지 않도록, 함께 기도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2 151. 성경에서 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들을 천대하는 이유가 무엇이지요? 같은 동족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2
281 153. 미사 중에 복음말씀을 사제와 전 신자들이 함께 읽는 본당이 있던데요, 옳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2
280 159. 신앙을 강요할 수 있습니까? 아이가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유아세례를 주지 않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2
279 175.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 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 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문제 3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2
278 223. 일본 쓰나미 사건을 보며 선하신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셨는데, 왜 이런 대재앙이 이어지고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2
277 256. 늘 방송과 글을 통한 신부님의 가르침에 감사드리는 신자입니다.^^ 그런데 성경읽기를 너무 강조하십니다. 꼭 성경을 읽어야만 좋은 신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나요? 성경을 읽지 않는 사람은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겠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2
276 264.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문제 4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2
275 266.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 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2
274 279. 29세 청년입니다. 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 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 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 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2
273 295.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대답을 못했습니다.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2
272 306. 사도신경에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0 12
271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3 13
270 추천의 글(2008년 대림에 이 홍 기 몬시뇰)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6 13
269 84. 3월이 요셉성월인 것은 알면서도 세계 교회와 한국교회의 수호성인이 요셉 성인인 줄은 몰랐습니다. 예수님의 양부, 성모 마리아의 남편이신 요셉 성인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5 13
268 226.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왜 세상에 고통이 사라지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3
267 227. 묵주기도는 단순한 기도문을 반복하는 것이라서 기도 중에 자꾸 지루해지고 따분해집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3
266 276. 타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3
265 294. 자비로운 하느님이시지만 제가 그동안 지은 죄는 용서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3
264 127. 본당신부님이 바뀐 후에 단체 운영의 성격과 지침이 달라졌습니다. 사제에 의해서 교회 단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5 14
263 133. 연초가 되면 어머니는 스님께 사주를 보러 가십니다. 미래야 살아봐야 알겠지만 지금까지는 다 맞아요. 어떻게 해석해야 하죠?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2 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