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6권 이런 질문해도 되나요?” 


 

신앙생활이 너무 복잡합니다.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문제 41)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250.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납득이 어렵습니다교리 선생님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문제 42)

251. 착하게 살면 되지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고민됩니다.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256. 늘 방송과 글을 통한 신부님의 가르침에 감사드리는 신자입니다.^^ 그런데 성경읽기를 너무 강조하십니다꼭 성경을 읽어야만 좋은 신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나요성경을 읽지 않는 사람은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겠지요?

257.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259. 성탄절을 왜 크리스마스라고 하나요?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263. 본당 신부님께서 자기 축일에도 미사를 넣는 게 좋다하셨지만 스스로 축복을 받으려는 모습이라 선뜻 내키지 않습니다.

264. 예비신자입니다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문제 43)


 

251. 착하게 살면 되지, 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영혼의 갈증은 착하게 사는 것만으로 해갈되지 않습니다.
영혼의 목마름은 도덕적 행위로 채워지고 완성되지 않습니다.
또한 완벽하고 도덕적으로 흠이 없어 보일지라도 이것은 인간의 시각이며 세상의 평가에 불과합니다.
때문에 자타가 공인하는 착한 사람일지라도 자신의 행위만으로 하느님의 자녀가 될 수 없습니다.
세상에서 존경받는 착한 삶을 살았다고 하느님 나라의 시민권을 얻을 수는 없습니다.
모든 사람에게 하느님의 은혜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물론 당신을 알지 못한 채로 자기 삶에 최선을 다했을 때 주님께서는 외면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주님에 대해서 알 기회를 거부하고 진리의 말씀에 귀를 닫는다면 지혜를 거부한 행위입니다.
입니다.
교회는 예수님의 희생을 통해서 세상의 모든 죄가 사면된 사실을 선포합니다.
그 진리를 믿고 화답하는 영혼에게 하느님 자녀가 되는 특권을 선물합니다.
교회는 결코 착하게 살고 선하게 살아가기 위한 삶의 지침을 배우는 곳이 아니며 진리이신 하느님의 뜻을 배우고 익혀 참 자유를 누리는 하늘 학교입니다.
주님께서는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지혜로운 삶을 원하십니다.
세간의 평판 좋은 착한 사람을 넘어선 그분의 뜻에 따르는 순명의 삶을 명하십니다.
선하고 착한 삶을 살으려는 형제님께 주님의 특별한 사랑이 임하시길 기도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2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1
281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 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2
280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 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6
279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 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8
278 175.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 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 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문제 3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2
277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 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 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 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 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9
276 177. 성당 어르신께서 묵주는 ‘방사를 놓고’ 집은 ‘축복’하고 성전은 ‘축성’한다 하시던데, 어떤 차이가 있는 것입니까? (문제 35)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46
275 178. 성지순례 중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님과 함께 ‘안젤루스’ 기도를 바쳤습니다. 이 기도가 삼종 기도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7
274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 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8
273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9 75
272 180. 미사 중에 바치는 주님의 기도에는 왜 ‘아멘’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54
271 181. 본당신부님께서 까만 미사보는 장례 미사용이라 하셨습니다. 그런데도 미사에서 까만 미사보를 사용하는 자매님을 보게 되니 딱합니다. 까만 미사보는 일반 미사용이 아니라는 걸 설명해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51
270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 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3
269 183. 72세의 노인입니다. 옛날에 금육은 네 발 가진 짐승에 한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두 발 달린 닭고기는 가능한가요? 금육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44
268 184.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 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21
267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 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 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 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 정말 죄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62
266 186. 모태 신앙인입니다. 세례로 모든 죄가 씻어졌다는 걸 믿습니다. 그런데 요즘 잠자리에서 자꾸 지난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이 생각납니다. 주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어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다시 총고해를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31
265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3
264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8
263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유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5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