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그릅니다

 

237. 독서자 중에 하느님을 하나님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문제 40)

238. 여학생입니다과학이 하느님께서 만들어 놓은 것을 발견한 것에 불과하다는 신부님의 말씀과 그들을 낮추어보는 듯한 표현이 불편합니다.

239. 한 블록 건너 성당과 교회가 판치는 거리에서 돈을 더 벌기 위해 필요하지도 않은 거대한 성당을 짓기보단매일 한 끼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기부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240. 인류가 진화했다는 모든 증거들이 잘못되고다윈은 거짓말쟁입니까박물관에 있는 것도 모두 거짓인가요?

241. 세례식이 있던 날외부에서 꽃을 구입하지 말고 성당에서 사라는 공지사항이 있었습니다. “교회가 하느님의 존재 자체를 떠나 약자를 도우기 위한 단체라면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꽃 장사를 돕는 게 당연한 것 아닙니까?

242. 두 주일마다 미사에 참석합니다성사를 보면서 늘 너무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사정상 미사에 빠질 경우주님의 기도를 3단 외우면 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정말 그래도 되나요?

243. 냉담을 풀고 의무적인 신앙생활을 했는데 이제는 제 십자가도 기꺼이 지겠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그런데 직장 때문에 주일에만 성당에 갈 수 있는데요제 건강상 월 2회 산악회 등반을 해야 합니다어떻게 하지요?

244. 주일 미사에 빠졌으면서도 뻔뻔스럽게 성체를 영하는 신자들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할 듯하여 건의합니다성사를 봐야 한다고 슬쩍 일러주어도 못들은 척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속이 상합니다.

245. 성전의 장궤틀에 만들어 놓은 가방걸이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장궤틀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나사로 박아 놓은 가방걸이는 장궤틀을 단순한 의자로 생각하여 설치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편의상 무릎을 끓을 수 있는 틀을 없애고 의자용도로만 만드는 것... 편의대로만 한다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가방걸이를 없애면 좋겠습니다.

246. 요즘 아기 백일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할머니께 비는 것이 유행입니다우리의 전통풍습이니 이벤트행사로 해주고 싶습니다기도이니까 괜찮지요?

247. 친정은 불교입니다저는 천주교 신자지만 49재를 올리는 친정 식구들을 따라 불경을 외우고 절도 하고 불전에 돈도 올리고 영전에도 돈을 올렸습니다아버지 49재이기에 절에서 불경을 외우고 불상에 큰절도 하고 있는데 신자로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또 딸의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좋은 방법은 없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242. 두 주일마다 미사에 참석합니다. 성사를 보면서 늘 너무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사정상 미사에 빠질 경우, 주님의 기도를 3단 외우면 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나요?
 

자매님의 표현대로 미사는 의무 때문에 억지로 참석하는 자리가 아닙니다.
주님께 의지하고 주님 뜻에 따라 살겠다는마음을 믿음으로 고백하는 축복의 시간입니다.
때문에 세상의 어느 일보다 최우선입니다.
그리고 성사는 그 죄를 다시 번복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따라야 합니다.
물론 나약한 우리이기에 반복해서 같은 죄를 고할 수 있지만 의도적으로 계속, 또 다시, 같은 잘못을 저지를 작정하에서 성사에 임하는 것이나 다시 성사 보면 그만이라는 생각은 매우 위험합니다.
성사란 형식이 아니라 삶을 변화시키는 은사입니다.
그리고 주님의 기도를 3단 왼다는 게 무슨 얘긴지 한참을 궁리했는데요.
혹시 새 묵주 기도가 생긴 줄 오해했지요.^^
짐작컨데 묵주를 이용해서 성모송 대신 주님의 기도를 3단 바치면 33번이 된다는 뜻인 것 같습니다. 맞나요?
아무튼 신자 분들의 머리가 얼마나 비상한지 새삼 느꼈습니다.
그리고 그 좋은 머리를 주님을 더 사랑하는 일에 사용하면 정말 좋겠다 싶습니다.
주님의 기도를 33번 바치면 성사를 보지 않아도 된다는 말은 전혀 근거가 없는 루머입니다.
속지 마세요!(소곤소곤 이게 정말 궁금했어요, 114-115 참조).(일련번호 4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96. 독서자로 선정되어 기쁘지만, 한편 조심스럽습니다. 독서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을 가르쳐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8 32
261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9 34
260 98. 지난 번 소곤소곤에 “성경통독의 효과”를 언급하셨는데, 상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0 33
259 99. 어른에게도 지루한 성경을 아이에게 권하기가 어렵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1 19
258 100. 교중(敎中) 미사는 무엇이 다른가요? (문제 18)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2 87
257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3 48
256 기도드리며 다시 묶어바칩니다.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4 36
255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5 331
254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6 17
253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7 426
252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5
251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9 561
250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 왜 그렇게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0 70
249 장재봉 신부님의 <소곤소곤 얼추 알겠습니다>에 부쳐(천주교 전주교구 교구장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1 20
248 108. 성체와 성혈이 거행될 때, 대부분 고개를 숙이거나 간혹 오래된 신자나 연세가 드신 분들 중에 성체, 성혈을 바라보며 무어라고 중얼중얼 말하는 것을 봅니다. 어떤 자세가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2 103
247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246 110. 성시간의 의미와 자세를 알고 싶어요. (문제 21)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4 113
245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244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6 205
243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문제 22)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7 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