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출처 : 소곤소곤 장재봉(스테파노) 지음(, 월평성당 주임신부님)

부산교구 주보 소곤소곤집필 내용

워드 편집 모달호(힐라리오) (, 월평성당 평협회장)

 

 

5이건 알아두세요

 

 

그릅니다

 

237. 독서자 중에 하느님하나님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문제 40)

238. 3 여학생입니다. 과학이 하느님께서 만들어 놓은 것을 발견한 것에 불과하다는 신부님의 말씀과 그들을 낮추어보는 듯한 표현이 불편합니다.

239. 한 블록 건너 성당과 교회가 판치는 거리에서 돈을 더 벌기 위해 필요하지도 않은 거대한 성당을 짓기보단, 매일 한 끼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기부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240. 인류가 진화했다는 모든 증거들이 잘못되고, 다윈은 거짓말쟁입니까? 박물관에 있는 것도 모두 거짓인가요?

241. 세례식이 있던 날, 외부에서 꽃을 구입하지 말고 성당에서 사라는 공지사항이 있었습니다. “교회가 하느님의 존재 자체를 떠나 약자를 도우기 위한 단체라면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꽃 장사를 돕는 게 당연한 것 아닙니까?

242. 두 주일마다 미사에 참석합니다. 성사를 보면서 늘 너무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사정상 미사에 빠질 경우, 주님의 기도를 3단 외우면 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나요?

243. 냉담을 풀고 의무적인 신앙생활을 했는데 이제는 제 십자가도 기꺼이 지겠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직장 때문에 주일에만 성당에 갈 수 있는데요. 제 건강상 월 2회 산악회 등반을 해야 합니다. 어떻게 하지요?

244. 주일 미사에 빠졌으면서도 뻔뻔스럽게 성체를 영하는 신자들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할 듯하여 건의합니다. 성사를 봐야 한다고 슬쩍 일러주어도 못들은 척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속이 상합니다.

245. 성전의 장궤틀에 만들어 놓은 가방걸이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장궤틀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나사로 박아 놓은 가방걸이는 장궤틀을 단순한 의자로 생각하여 설치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편의상 무릎을 끓을 수 있는 틀을 없애고 의자용도로만 만드는 것... 편의대로만 한다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가방걸이를 없애면 좋겠습니다.

246. 요즘 아기 백일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할머니께 비는 것이 유행입니다. 우리의 전통풍습이니 이벤트행사로 해주고 싶습니다. 기도이니까 괜찮지요?

247. 친정은 불교입니다. 저는 천주교 신자지만 49재를 올리는 친정 식구들을 따라 불경을 외우고 절도 하고 불전에 돈도 올리고 영전에도 돈을 올렸습니다. 아버지 49재이기에 절에서 불경을 외우고 불상에 큰절도 하고 있는데 신자로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 또 딸의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좋은 방법은 없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237. 독서자 중에 하느님하나님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하느님은 우리말 하늘을 높인 표현이고 한자 ’()의 존칭어입니다.
애국가 가사처럼 절대자를 가리키는 순수 우리말이지요.
끝없이 펼쳐진 창공을 보며 절대자를 기억하는 모습은 인류가 지녔던 공통된 사상입니다.
따라서 인류의 종교현상을 들여다보면 으레 하늘은 절대자가 있는 곳으로 인식했던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천주님이란 단어를 사용했던 한국가톨릭 교회는 1971년 개신교와 성경을 공동번역하면서 한국 고유 신앙의 핵심을 드러내는 하느님 신앙을 수용합니다.
이에 따라 양측은 하느님으로 표기하는 것에 합의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개신교가 이 합의를 쫓지 않고 하나님이라고 부를 것을 주장하며 공동번역성서를 외면하였습니다.
결국 가톨릭에서는 하느님이라 하고, 개신교에서는 하나님이라고 부르는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일부 개신교 측이 자신들의 하느님은 유일신임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하나님이라고 선택할 것을 주장하고, 또 천주교가 하늘을 우상으로 숭배하는 종교로 매도한 탓에 발생된 일임을 생각하면 딱합니다.
그들도 하느님이 결코 하늘을 가리키는 우상이 아니란 것을 모르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의 하느님은 한 분이시며 삼위이심을 기억하여 독서를 봉독할 때에도 하느님으로 분명하게 발음해야 옳겠습니다.

 

문제 40 독서자 중에 '하느님' '하나님' 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40-1) 한국의 가톨릭교회에서는 천주(天主)님을 하느님이라고 합니다.
옛말은 하늘 님이라 했는데요. 문법의 변경으로 '하느님'라고 표현합니다. 애국가에서도 '하느님' 이라고 합니다. 국어사전에 '하느님''우주를 창조하고 다스린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라고 해석하고 하나님'여호와를 개신교에서 이르는 말'이라고 해석합니다. 하나님은 개신교에서 일방적인 표현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천주님을 순수한 ( )말로 '하느님'이라 하는 것이 맞습니다.
( )
안에 들어갈 말은 무엇입니까?

) 우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158. 사순절(四旬節)이 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인가요? (문제 3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4
261 197. 개신교를 기독교라고 했다고 수녀님께 야단을 들었습니다. 너무 놀라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묻지도 못했는데요. 자꾸만 억울한 생각이 듭니다. 설명해 주세요. (문제 36)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4
260 235. 미사 참례시에 주변 교우분의 지나친 화장품과 염색약, 퍼머약 냄새로 너무너무 고통스럽습니다. 어쩌면 저 혼자 감내해야 할 개인의 체질적인 사안인지 모릅니다만, 대중이 모여 참례하는 미사에서는 지나친 냄새를 피우지 않는 것도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4
259 243. 냉담을 풀고 의무적인 신앙생활을 했는데 이제는 제 십자가도 기꺼이 지겠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직장 때문에 주일에만 성당에 갈 수 있는데요. 제 건강상 월 2회 산악회 등반을 해야 합니다. 어떻게 하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4
258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4
257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256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255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 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 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4 14
254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 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 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0 14
253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4 15
252 140. 현실도피와 성소를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요? '그럴 자격이 있는지’ 의아하고 ‘화려한 것 좋아하고 최신유행을 쫓는 직업을 가진 제가 어떻게 이런 생각을 갖는지’ 의문스러울 뿐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9 15
251 150. 미사의 독서와 복음의 선택 기준이 무엇입니까? (문제 2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250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249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유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5
248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 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247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246 216.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 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5
» 237. 독서자 중에 ‘하느님’을 ‘하나님’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문제 4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5
244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8 15
243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 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 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7 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