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688호 2022. 1. 16 
글쓴이 노우재 신부 
“시노달리타스”의 여정, 두 번째 이야기
 

 
노우재 신부
제16차 세계주교시노드 부산교구 단계 책임자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제16차 세계주교시노드 개막 연설 중 “우리가 아름답지만 말하지 못하고, 과거로 가득하지만 미래가 없는 ‘박물관 교회’가 되지 않게 지켜 주소서.”라고 기도하셨습니다. 또한 교황님은 “교회는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라고 역설하시면서, ‘또 하나의 교회’를 세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변화된)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셨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교회에 대한 변화 의지는 분명합니다. 다만 그 변화는 소위 “교회의 왕자들”이라고 칭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시작되는 게 아니라, 세례로 하느님 백성이 된 교회의 모든 구성원의 “친교와 참여와 사명”이라는 틀 안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그리하여 부산교구는 교황님의 시노드 정신에 따라 지난해 11월, 시노드 준비 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사제단, 수도자, 평신도 협의회를 비롯한 교구 내 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그 과정의 일환으로 부산교구 교구장 주교님과 총대리 주교님은 지난해 11월 11일에 ‘부주임 및 보좌 신부님 연례 만남’의 시간을 활용하여 신부님들이 마주하는 교회 또는 부산교구의 모습은 어떤지 경청하고, 서로 참여하여, 사명감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처음에 신부님들은 1년에 한 번 있는 ‘연례 만남’의 시간이 시노드 단계별 회의로 대체 되는 것 같아서 불편한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우리 얘기는 듣지 않으시겠다는 거지.” “이거 해 봤자 달라지는 거 있나?” “대충 회의하고 집에 가자. 결국은 윗사람들이 모두 정할 거야” 등등. 이러한 불평과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 지점에서 교황님께서는 분명하게 지적하셨는데, 시노드의 본정신을 실행하는 데 3가지의 위험 요소가 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위험은 형식주의(Formalismo), 두 번째는 주지주의(Intellettualismo), 세 번째는 현실 안주(Immobilismo)입니다.
 
   교황님께서 위험 요소를 지적하셨듯이, 신부님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결의 위험 요소를 토로했습니다. 그럼에도 교회의 변화는 필요한 것이고, 그 변화를 바라는 신부님들은 위험을 무릅쓰면서 시노드 의견서 10개 문항 중 4개 문항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습니다.
 
   ① 우리는 여정의 동반자로서 대화하는가? ② 우리는 서로의 말을 열린 정신과 마음으로 경청하는가? ③ 우리는 교회의 봉사자로서 공동 책임을 어떻게 지는가? ④ 우리는 시노드 정신을 살기 위해 어떻게 양성되기를 원하는가?
 
   신부님들은 각 문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화를 이어갔습니다. 그리고 그 대화의 요점들을 정리하여 의견을 공유하였습니다. 그랬더니 처음에 보였던 불편함과 냉소적인 태도는 사라지고, 진솔한 대화로 연례 만남의 시간을 충만하게 보낼 수 있었습니다.
 
   교회의 변화는 교회 구성원 모두의 진솔한 대화를 통해서 서서히 시작되리라 믿습니다. 부주임/보좌 신부님들은 성령 하느님의 도움으로 이번 제16차 세계주교시노드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기를 희망하며 기도하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31 2513호 2018.11.04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file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80
130 2407호 2016.11.6  천주교부산교구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학교 소개 -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file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132
129 2353호 2015.11.08  천주교부산교구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학교 소개 -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file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302
128 2782호 2023. 11. 5  가톨릭 정신을 바탕에 둔 창의 인재 양성, 대양고등학교 file 대양고등학교  8
127 2676호 2021. 11. 7  대양고등학교 - 인성과 기술을 겸비한 명문 특성화고 file 대양고등학교  6
126 2621호 2020.11.01  대양고등학교(구, 대양전자통신고) file 대양고등학교  35
» 2688호 2022. 1. 16  “시노달리타스”의 여정, 두 번째 이야기 노우재 신부  42
124 2681호 2021. 12. 12  “시노달리타스”의 여정 노우재 신부  64
123 2809호 2024. 4. 21  우리의 이름이 시작된 곳 남영 신부  10
122 2256호 2014.01.26  부르심에 감사합니다 남수미 요세피나  104
121 2491호 2018.06.03  꾸르실료도입 50주년, “가거라!” 꾸르실료사무국  124
120 2618호 2020.10.11  “여보세요~ 성당 입니다, 잘 지내시죠?” file 김현미 엘리사벳  15
119 2192호 2012.12.16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밥을 짓는 영양사 김해경 글라라  143
118 2022호 2009.11.19  사랑초처럼 김태형 신부  120
117 2561호 2019.09.22  제2차 부산교구 평신도 아카데미에 초대합니다. 김태창 가브리엘  43
116 2767호 2023. 7. 23  메리놀병원 Alter Christus 복음적 사랑을 실천하다. file 김태익 그레고리오  12
115 1963호 2008.22.02  위령성월을 보내며 김철현 라파엘  30
114 2683호 2021. 12. 25  비대면 ME주말 체험의 기적 김창수, 황정숙 부부  19
113 2370호 2016.02.21  부산가톨릭생활성가협의회, ‘부가생협’을 소개합니다. file 김중현 세례자요한  376
112 2380호 2016.05.01  감물생태학습관, 생태피정(연수)에 초대합니다! 김준한 신부  43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