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왜 세상에 고통이 사라지지 않습니까?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12,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힘내세요

 

224.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우리 아버지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주세요.

225. 성당 다닌지 수십 년인데아직도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226. 하느님은 사랑이신데왜 세상에 고통이 사라지지 않습니까?

227. 묵주기도는 단순한 기도문을 반복하는 것이라서 기도 중에 자꾸 지루해지고 따분해집니다.

228. 자비심 기도를 바칠 때에 비해서 묵주 기도에서는 자꾸 잡념이 생깁니다때문에 자비심 기도를 더 많이 바치게 되는데 괜찮습니까?

229. 주일마다 마음이 무겁습니다강론 중에 신자를 내쫒고 나이 많은 어른께 반말을 하는 본당 신부님께서 드리시는 미사는 전혀 기쁘지 않습니다신부님의 너무 높은 위치를 보지마시고 조금 머리를 낮춰 우리 마음을 헤아려 주세요그래도 신부님들정말 사랑합니다.

230. 미사전례 중 사람이 쓰러졌는데도 계속 미사만 진행하는 모습에 실망했습니다잠시 중단하고 환자를 배려하는 게 도리가 아닐까요?

231. 전교를 하는 중입니다입교를 원한다면서도 자꾸만 개종하면 꼭 안 좋은 일이 생긴다며 망설이기만 하니 속에 열불이 납니다어떻게 설득할까요?

232. 뜻도 모르고 읽는 성경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요비몽사몽 바치는 염경기도나 집중하지 못하는 미사참여도 효과가 있는지요모두그분을 우롱하는 일이 아닐지요.

233. 동생이 20년 동안 정신과 치료 중입니다병원에서는 퇴원을 종용하지만 약물중독 증세와 정신이 온전치 못할 때도 많아서 불안합니다어떻게 하는 게 옳을까요?

234. 자식에게 소홀했습니다늦었지만 이제라도 훌륭한 사제를 삶의 멘토로 정해주고 싶습니다어떻게 하면 가능할까요?

235. 미사 참례시에 주변 교우분의 지나친 화장품과 염색약퍼머약 냄새로 너무너무 고통스럽습니다어쩌면 저 혼자 감내해야 할 개인의 체질적인 사안인지 모릅니다만대중이 모여 참례하는 미사에서는 지나친 냄새를 피우지 않는 것도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236. 사정상 다른 본당 미사에 참석했다가 명찰을 달지 않았다고 지적을 당했습니다명찰을 갖고 다닐 수는 없잖아요이제 본당 미사가 아니면 참석하지 못하겠습니다.

 

226.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왜 세상에 고통이 사라지지 않습니까?

 

질문에서 ?’라고 끊임없이 힐책하는 세상의 항변을 듣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보다 더 고통당하신 그분의 삶을 전하는 성경은 한발 더 나아가 그리스도인은 그분처럼 고통당하는 사람임을 밝힙니다.
더욱이 세상에는 채워져야 할 고통의 몫이 있으며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는 삶이 하느님의 뜻을 이루는 길이라 선포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 고통을 없애달라고 청하지 않았습니다.
닥쳐온 고난을 거부하지도 않았습니다.
예수님의 시선은 이 세상을 통해서 항상 하느님 나라를 바라보았습니다.
하느님과 일치를 이루지 못한 불완전한 인간이 하느님과 궁극적인 일치를 이루기 위해서는 예수님께서 걸으신 십자가의 길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하늘나라를 바라보고 인간이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신비체라는 것을 생각할 때에만, 세상의 고통은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에 사도들은 지금 얼마 동안은 갖가지 시련을 겪으며 슬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1베드 1,6)라고, “고난을 겪으며 기뻐합니다. () 그분의 몸인 교회를 위하여 내 육신으로 채우고 있습니다”(콜로 1,24)라고 믿음을 고백하며 금보다 훨씬 값진고통을 목숨으로 증거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세상의 고통이 사라지기를 원하는 사람이 아니라 고통의 순간에도 주님을 기억하고 뵙는 축복의 사람입니다.
복음인은 고통을 넘어 그분의 나라를 희망하는 행복한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