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이렇습니다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문제 37)

212. 성탄절과 다르게 부활절은 매년마다 날짜가 바뀌는데 그 날짜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제 38)

213. 김대건 신부님의 축일이 왜 7월 5일인지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문제 39)

214. 예전에는 8월 15일을 성모몽소승천 대축일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으로 기억합니다몽소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215. 성경에는 성모몽소승천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지 않습니까?

216.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217. 사순 시기라도 주일은 작은 부활이라 십자가의 길 기도를 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신자들이 주일날 바쳐도 신부님과 수녀님께서 묵인하십니다

218. ‘자비의 예수님’ 성화에는 예수님 가슴에서 붉고 푸른 빛이 나오는 것이 그려져 있는데 어떤 의미입니까?

219. 주일미사 예물 봉헌 시간에 평신도는 예물 봉헌을 하는데 신부님이나 수녀님들은 예물 봉헌을 하는 것을 보질 못했습니다제 생각으로는 성직자나 수도자들은 몸과 마음을 주님께 봉헌하셨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220. 미사예물을 바치지 않고서도 미사 중에 죽은 영혼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면 연미사가 됩니까?

221.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은 이해되지만예수님도 사람들의 잘못을 냉정하게 나무라지 않았습니까?

222. 성당을 다니다가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이지요그런데 성당 다닐 때보다 더 열심히 활동하는 동생과 친구를 보면 하느님을 깨닫고 열심히 다니면 되는 것이라 싶네요.

223. 일본 쓰나미 사건을 보며 선하신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셨는데왜 이런 대재앙이 이어지고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 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죄 값을 치루고 돌아가시어 우리를 구원하셨습니다.
세상의 무엇으로도 보상할 수 없는 비싼 값을 치루셨습니다.
그분께서 가장 귀하게 여기는 것은 바로 우리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데요.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그는 새로운 피조물입니다.
옛 것은 지나갔습니다. 보십시오. 새것이 되었습니다”(2코린 5,17)라는 말씀대로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로 승격되었고 상속자의 인호를 받은 세례의 은총을 지닌 새 사람이 되었습니다.
이제 튼튼하게 자라나야 합니다.
견진성사는 굳건히 하다. 강하게 하다. 쓸모 있게 만들다. 일어서게 하다. 견딜 힘을 주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왔습니다.
아직 어린 세례인이 성장했음을 선포하는 성인식이 견진이라고 설명하고 싶은데요. 견진성사는 성숙한 신앙인이 되었다는 것, 믿음의 어른이 되어 이제 하느님 나라의 일꾼으로 살아갈 것을 다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견진은 스스로의 의지로 하느님의 부르심에 충실할 것을 맹세하는 특별하고 거룩한 성사입니다.
견진성사를 통해서 성령께서는 더욱 강하게 우리 안에 임하십니다.
믿음 생활을 기쁨과 평화로 한 걸음 도약하도록 합니다.
솜씨 좋은 성령께서 하느님과 깊이 연결시켜 주는 자리입니다.
세상의 영이 아닌 하느님 성령의 인도로 살아가도록, 하느님의 뜻으로 단단히 무장되는 귀한 성사인 만큼 놓칠 수 없습니다.

 

문제 37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 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

 

37-1) 견진성사는 인호를 새겨주며 이 성사로 영세자들은 그리스도교 입문의 여정에서 진보하여 성령의 은혜로 충만케 되고 교회에 더욱 완전히 결속됩니다.
우리는 견진성사를 받음으로써 일상적인 은혜 외 성령칠은을 받습니다.
이 성령칠은(聖靈七恩)을 써보세요.

) 지혜(슬기), 통찰(깨달음), 의견(일깨움), 용기(굳셈), 지식(), 공경(받듦), 경외심(두려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9 561
361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4 466
360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7 435
359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1 429
358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7 428
357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376
356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8 351
355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5 331
354 333.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9 309
353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5 308
352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6 206
351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4 197
350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1 195
349 여기까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3 180
348 220. 미사예물을 바치지 않고서도 미사 중에 죽은 영혼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면 연미사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78
347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 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 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 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 정말 죄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62
346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7 160
345 181. 본당신부님께서 까만 미사보는 장례 미사용이라 하셨습니다. 그런데도 미사에서 까만 미사보를 사용하는 자매님을 보게 되니 딱합니다. 까만 미사보는 일반 미사용이 아니라는 걸 설명해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51
344 183. 72세의 노인입니다. 옛날에 금육은 네 발 가진 짐승에 한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두 발 달린 닭고기는 가능한가요? 금육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44
343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5 1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