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멋집니다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02. 학원 강사입니다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209. “엘리사는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209. “엘리사는 ()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 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예언자가 아이들의 단순한 놀림에 그토록 무자비한 폭력을 휘두를 수 있나?”라고 엘리사의 과잉반응에 분노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순진한 아이들에게 연민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이 하느님의 말씀인 동시에 그 시대의 자녀라는 점을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성경이 기록될 당시의 다양한 문학유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특히 구약에는 법률, 족보, 목록, 예언, 경신례적 노래, 잠언 등의 고유한 작품과 신화, 전설, 영웅담, 일화, 소설, 비유 등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이야기에서 저자의 의도를 세밀히 살피는 작업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적하신 부분은 발라암과 나귀(민수 22,22-35 참조), 엘리야에게 빵과 고기를 날라준 까마귀(1열왕 17,6 참조) 이야기처럼 동화적 성격의 일화일 뿐입니다.
저자는 이 생뚱맞은 얘기를 통해 하느님 사람에 대한 경외심을 갖도록, 함부로 조롱하지 못하도록 경고한 것입니다.
당시 이 작문은 엘리사의 위대함과 능력을 세상에 알리는데 일조했겠지요.
옛사람들이 이러한 표현방식으로 위대한 인물을 경외하도록 부추겼다는 점을 이해한다면 이 이상한 이야기를 올바로 알아 듣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61
» 209. “엘리사는 (…)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 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220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 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2
219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218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217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 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 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 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1
216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6
215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단~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 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52
214 202. 학원 강사입니다. 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3
213 201.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 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212 시편 11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7
211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210 감사하고 사랑하는 삶을 위하여(5권, 부산교구 총대리 손 삼 석 요셉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
209 감사합니다.(5권, ‘복의 통로’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
208 199. 지각했습니다. 성체를 모시러 나갔다가 신부님께 꾸중을 들었습니다. 늦어서 자격이 없다고 거절당했습니다. 미리 와서 준비하지 못한 잘못보다 너무 부끄럽고 창피해서 미사에 가지 못하겠다는 생각만 듭니다. 독서가 끝나기 전에 가면 영성체를 할 수 있지 않나요? ​​​​​​​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52
207 198. 신부님께서 성체를 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 하시는데 ‘아멘’이라고 제대로 답하지 않았다고 몇 번이나 “하세요. 하세요”라는 추궁을 당해서 너무 부끄럽고 민망했습니다. 꼭 ‘아멘’이라고 소리를 내서 말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6
206 197. 개신교를 기독교라고 했다고 수녀님께 야단을 들었습니다. 너무 놀라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묻지도 못했는데요. 자꾸만 억울한 생각이 듭니다. 설명해 주세요. (문제 36)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4
205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204 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 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33
203 194. 사람이 사람에게 죄의 용서를 청한다는 사실이 어색합니다. 속속들이 내 잘못을 밝히기가 조심스럽고 내 죄를 털어놓는 것도 불편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