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멋집니다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02. 학원 강사입니다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209. “엘리사는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참 좋은 질문을 해 주셨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궁금하게 여길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먼저 성경이 전하는 끔찍한 이야기들은 하느님 눈에 비춰진 가감 없는 인간의 행태임을 감안하기 바랍니다.
불과 한 세기 전만 해도 인류는 인간의 가치와 지위를 인식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지금 문명시대에도 여전히 무식하고 잔인한 그들의 삶은 우리 안에 고스란히 내림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세상에는 인간의 참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착취와 쟁취, 차별과 모멸이 난무하고 있으니까요.
악랄하고 교활하고 잔인하고 끔찍한 생각은 현재, 실제 지금 내 안에서 혈투를 벌이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가 지닌 죄의 속성의 깊은 뿌리로 인해 우리는 생각마저 자유롭지 못하게 얽매여 있지 않습니까?
성경은 인간이 지어낸 문장이 아니라 하느님의 육성을 들려주는 그분의 고백이며 약속의 기록입니다.
성경에서 그분의 음성을 듣고 그분의 사랑을 느끼게 하는 것이 믿음입니다.
믿음만이 이 모자란 인간을 나의 종”, “내가 뽑은 자”, “나의 친구라고 부르시는 그분의 사랑을 일깨워 응답하도록 이끌어 줍니다.
성경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예수님을 세상에 보내어 구원하실 계획을 지켜 이루신 그분 사랑의 자취를 느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 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61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60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문제 2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0
59 135 종교 신문의 묘자리 광고에서 “명당자리”라는 문구를 봅니다. 세상의 생각을 그대로 따르는 표현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4 10
58 132. 황당한 질문입니다만, 조상들이 믿었던 기복적인 천지신명과 지금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 같은 하느님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1 10
57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 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어떻게 참아내야 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4 9
56 복된 속삭임으로 행복해지세요(소곤소곤 7권, 장재봉스테파노)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1 9
55 233. 동생이 20년 동안 정신과 치료 중입니다. 병원에서는 퇴원을 종용하지만 약물중독 증세와 정신이 온전치 못할 때도 많아서 불안합니다. 어떻게 하는 게 옳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9
54 232. 뜻도 모르고 읽는 성경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요. 비몽사몽 바치는 염경기도나 집중하지 못하는 미사참여도 효과가 있는지요? 모두, 그분을 우롱하는 일이 아닐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9
53 225. 성당 다닌 지 수십 년인데, 아직도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9
52 214. 예전에는 8월 15일을 성모몽소승천 대축일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몽소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9
51 209. “엘리사는 (…)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 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49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48 194. 사람이 사람에게 죄의 용서를 청한다는 사실이 어색합니다. 속속들이 내 잘못을 밝히기가 조심스럽고 내 죄를 털어놓는 것도 불편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9
47 14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예전과 다른 요즘 아이들을 가르치기가 너무 힘듭니다. 아이들 마음을 사로잡고 싶습니다. 좋은 교사가 되는 법을 알려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9
46 327. “(…) 당신은 4일 이내에 이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 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 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3 8
45 321. 최근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부업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이 일이 공정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돈을 생각하면 이 일을 해야 하고, 계속 하자니 주님의 노여움을 피할 수 없을 것 같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5 8
44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 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7 8
43 299.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3 8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