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멋집니다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02. 학원 강사입니다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209. “엘리사는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 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 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주신 글을 읽으면서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시려는 어르신의 간절함이 그려져서 진심으로 고마웠습니다.
궁금한 마음으로 두루 확인해 보신 바와 같이,
원죄는 아담으로 인한 죄를 일컫습니다.
원죄에 대한 성서적 근거는 창세기 2장과 3, 그리고 로마서 5장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 성인께서 아담의 범죄가 원죄임을 밝혔으며 트리엔트 공의회가 원죄를 전통적인 교리로 선언하였습니다.
또한 한국가톨릭대사전원조 아담이 범죄와 이로 인한 은총의 결핍상태를 원죄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신부님께서 말씀하신 요지는 신자들이 죄를 지은 아담 때문에 온 인류가 고생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부분을 고쳐주려 하신 것이라 짐작됩니다.
흔히 아담 탓에 낙원에서 쫒겨났다고 억울해하고 핑계를 삼는 분들께 세상의 어느 누구도 그분 정의에 합당한 삶을 살아낼 수는 없다는 점을 일깨워 주기 위함인 줄 헤아립니다.
아담의 죄를 탓하기 전에 먼저 자신의 삶을 성찰할 것을 말씀하신 것이니,
사랑으로 받아들여 믿음으로 돋움하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1
121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①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6 41
120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2 41
119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 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6 41
118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41
117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문제 25)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1 42
116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115 230. 미사전례 중 사람이 쓰러졌는데도 계속 미사만 진행하는 모습에 실망했습니다. 잠시 중단하고 환자를 배려하는 게 도리가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42
114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0 42
113 8.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불의한 일에도 적용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8 43
112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8 43
111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0 43
110 322.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6 43
109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3 44
108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8 44
107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9 45
106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6 45
105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104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문제 4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5
103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0 45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