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10,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멋집니다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02. 학원 강사입니다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209. “엘리사는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홀로 가톨릭 교회를 찾은 열의도 주님께 진심을 바치는 모습도 모두 고맙습니다.
그리고 여태껏 아는 사람도 없이 홀로신앙생활을 한다는 말씀에 많이 안타깝습니다.
또 미사 중에 성가를 크게 부르다가 지적을 당했다니, 민망하기 짝이 없습니다.
지난 일이니, 잊으세요.
그 일이 옳지 않고(틀림없이 자매님이 옳습니다^^) 상대의 잘못이 분명하더라도 그에 마음이 묶여 속을 끓여대는 것은 그분의 뜻이 아니니까요.
사랑은 옳고 좋고 바른 것에만 베푸는 것이 아니며 잘잘못을 따져 일일이 가려내는 일이 아닙니다.
이치에 어긋나고 사리에 맞지 않고 도덕기준에 미달되는 모습까지도 너르게 포용하는 마음입니다.
그날 자매님이 겸손하고 공손하게 답변하신 것으로 상대를 충분히 일깨웠으리라 짐작합니다.
때문에 속상해서 잠이 오지 않았던분심을 싹 비워내기 바랍니다.
그리고 자매님을 나무라신 그 어르신께 성가를 통해 바치는 찬양은 그분을 향한 참된 제사이며 경배의 모습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수님을 통하여 언제나 하느님께 찬양제물을 바칩시다.
그것은 그분의 이름을 찬미하는 입술의 열매입니다”(히브 13,15).
그럼에도 전례에서 이루는 서로의 조화도 아름답습니다.
큰 목소리가 주위 사람들에게 분심을 준다면,
소리를 낮추는 마음씀이 주님께서 기뻐하시는 사랑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