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멋집니다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 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 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 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02. 학원 강사입니다. 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단~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 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 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 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 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 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209. “엘리사는 (…)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 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202. 학원 강사입니다. 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경제적 풍요만이 삶의 목적인양 오인되는 현대 사회에서, 깨어 있는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만나니 반갑습니다.
사회의 분열을 조장하는 악덕으로 인식되고 저주의 개념으로 쓰이던 ‘탐욕’이 ‘이익’과 ‘이윤’이라는 맛깔스런 탈을 쓰고 나대고 있습니다.
어느새 공명정대한 의미의 존경할 가치로 둔갑하였습니다.
경제가 인간 위에 군림하여 “경쟁에서 이겨야만 살아남고 남을 이기는 것만이 승리”라고 부르짖으며 수많은 유혹의 덫을 놓고 있습니다.
이 잘못된 가치관은 인간의 판단을 흐려 놓았습니다.
이렇게 복음과 동떨어진 지론에 묶여 있는 세상이기에 더욱 그리스도인의 지혜가 요구됩니다.
그럼에도 빛을 이긴 어둠은 없습니다.
자매님께는 주님께서도 영광의 타볼산에서 부패하고 왜곡된 세상으로 다시 내려오셨다는 사실로 힌트를 드리고 싶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세상을 외면하고 등지는 사람이 아니라 세상 안에서 소금과 빛의 사명을 실천하는 사람입니다.
주어진 일터에서 복음에 기준하여 살아내는 일이 가장 중요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입니다.
기도함으로 그분께로부터 오는 위로와 힘과 지혜를 선물 받는다면 세상의 갈증을 풀어주는 사명을 감당할 힘을 주실 것입니다.
그분의 뜻을 실천하며 기쁘게 복음을 살아내는 주님의 증인으로 우뚝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