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5권 이건 알아두세요” 

 

멋집니다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02. 학원 강사입니다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209. “엘리사는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 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주신 글에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의료계의 현실과 의대생들의 마음을 구체적으로 엿보는 감동을 누렸습니다.
좋은 의도라면 모든 것을 용인하는 세상에서 복음과 믿음으로 삶을 고민하는 형제님의 모습이 반가웠습니다.

교회는 시신기증과 장기기증을 적극적으로 권장합니다.
교리적인 측면에서 전혀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이야말로 이웃을 사랑하는 숭고한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조상에게 물려받은 몸을 훼손시킨다는 생각은 유교적 사고에 불과합니다.

그럼에도 의학의 발달이 하느님의 뜻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발전할 위험성은 충분히 깨어 경계해야할 부분이지요.
때문에 의료계 현장에서 생명의 존귀를 일깨우고 사랑의 힘을 실천하는 그리스도인의 사명이 더욱 막중하고 소중한 것임을 말씀드립니다.
형제님께서 사랑으로 행하고자 하는 복된 행위에 큰 박수를 보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6
341 234. 자식에게 소홀했습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훌륭한 사제를 삶의 멘토로 정해주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가능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6
340 239. 한 블록 건너 성당과 교회가 판치는 거리에서 돈을 더 벌기 위해 필요하지도 않은 거대한 성당을 짓기보단, 매일 한 끼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기부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6
339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6
338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자녀와 종, 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6
337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6 6
336 137. 시어머니께서 아들 낳는 법이라며 ‘민간요법을 하라’고 권하십니다. 따라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6 7
335 147. 자영업자입니다. 성경에서는 안식일에 일을 하면 죄라고 하던데, 주일에는 영업을 쉬는 게 옳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7
334 178. 성지순례 중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님과 함께 ‘안젤루스’ 기도를 바쳤습니다. 이 기도가 삼종 기도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7
333 시편 11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7
332 240. 인류가 진화했다는 모든 증거들이 잘못되고, 다윈은 거짓말쟁입니까? 박물관에 있는 것도 모두 거짓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7
331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 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 고민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7
330 287.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7
329 129. “시복 시성을 위한 도보순례”라는 조끼를 입고 걷는 단체가 있던데 시복시성이 무엇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7 8
328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8
327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 201.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 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325 215. 성경에는 성모몽소승천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8
324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323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