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10,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출처 : 소곤소곤 장재봉(스테파노) 지음(, 월평성당 주임신부님)

부산교구 주보 소곤소곤집필 내용

워드 편집 모달호(힐라리오) (, 월평성당 평협회장)


 

5이건 알아두세요” 


 

멋집니다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201. 우리나라는 사망시 부검제도가 없어서 해부학 실습용 시신이 무척 모자라는 현실입니다. 의사로서 학생 때 해부실습 대상이 되어 주신 이름 모를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 같은 방법으로 보답할 생각입니다.

그런데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 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202. 학원 강사입니다. 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 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 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 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208. 토빗 12,18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 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209. “엘리사는 ()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 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200. 성령의 말씀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양심은 그분께서 인간에게 선물하신 가장 기본적이고 인격적인 윤리관이며 우리 안에 새겨진 하느님의 목소리입니다.
그리고 성령의 이르심은 언제나 십자가를 통한 희생과 고통마저도 기쁘게 받아들이는 삶으로 귀결됩니다.
때문에 성령의 말씀과 올바르고 성숙한 양심의 소리는 우리를 일깨우는 하느님의 뜻이기에 궁극적으로 같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양심의 소리에 따르다 손해 본 일 따위를 오래토록 간직하지 않는 현명함이 필요합니다.
속상함을 얼른얼른 봉헌하세요.
그분을 향한 빈 마음에는 꼭 그분께서 새 힘으로 채워주십니다.

그래도 자꾸 속상하고 억울할 때는 그분의 골머리를 이렇게 썩이는 우리,
문제만 일으키는 우리를 통해서 오히려 영광을 받으셨다고 고백하신 주님 심정을 생각하세요.
양심의 소리에 따라 손해를 보는 일, 바보가 되는 일이야말로 그분을 닮아가는 필수과정임을 명심하세요.
그분께 칭찬들을 것을 생각하면 힘이 솟을 것입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실천한다면 양보도 손해도 모두, 하늘에 재물을 쌓는 복된 작업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세상의 기준이 아니라 그분의 뜻에 맞추어 양심껏 혼신을 다해 이웃과 하나가 되고자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양심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을 정말 어여뻐하시는 주님의 고백이 담긴 시편 112편에서 위로를 얻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