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너무합니다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194. 사람이 사람에게 죄의 용서를 청한다는 사실이 어색합니다속속들이 내 잘못을 밝히기가 조심스럽고 내 죄를 털어놓는 것도 불편합니다.

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어떻게 할까요?

197. 개신교를 기독교라고 했다고 수녀님께 야단을 들었습니다너무 놀라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묻지도 못했는데요자꾸만 억울한 생각이 듭니다설명해 주세요. (문제 36)

198. 신부님께서 성체를 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 하시는데 아멘이라고 제대로 답하지 않았다고 몇 번이나 하세요하세요라는 추궁을 당해서 너무 부끄럽고 민망했습니다꼭 아멘이라고 소리를 내서 말해야 합니까?

199. 지각했습니다성체를 모시러 나갔다가 신부님께 꾸중을 들었습니다늦어서 자격이 없다고 거절당했습니다미리 와서 준비하지 못한 잘못보다 너무 부끄럽고 창피해서 미사에 가지 못하겠다는 생각만 듭니다독서가 끝나기 전에 가면 영성체를 할 수 있지 않나요?
 

199. 지각했습니다. 성체를 모시러 나갔다가 신부님께 꾸중을 들었습니다. 늦어서 자격이 없다고 거절당했습니다. 미리 와서 준비하지 못한 잘못보다 너무 부끄럽고 창피해서 미사에 가지 못하겠다는 생각만 듭니다. 독서가 끝나기 전에 가면 영성체를 할 수 있지 않나요?

난감한 중에도 용기를 내어 속마음을 열어주신 것에 감사를 드립니다.
이유는 모르지만 신부님께서는 미사에 더욱 정성을 드리도록 일깨우고 싶었던 것이라 짐작해 봅니다.
때문에 저로써는 오히려 자매님께서 거푸 창피하다는 표현을 쓰신 점이 염려스럽습니다.
마음 푸세요.
그날 자매님과 함께 하지 못하신 예수님의 마음이 훨씬 아프셨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힘을 내기 바랍니다.
그래도 힘든다면 되려 신부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 어떨까요?
마음 속 앙금은 남김 없이 풀어내는 게 가장 바람직하니까요.
아마도 신부님께서는 내가 왜 그렇게 하였겠습니까? 내가 여러분을 사랑하지 않아서겠습니까? 하느님께서는 아십니다”(2코린 11,11)라고 기도하셨을 것입니다.
우리를 더 성숙한 믿음으로 매진하도록 하시려는 하느님의 배려는 늘 모든 것이 함께 작용하여 선을 이룬다”(로마 8,28) 것을 믿으세요.
이제부터는 미사 전에 도착해서 그분과의 만남을 더 잘 준비하시는 신앙인의 를 갖춘다면 신부님께서도 매우 기뻐하실 것입니다.
소곤소곤 이게 궁금했어요’ 94-95쪽을 참조하면 마음이 더 편해지리라 싶네요.
(일련번호 37번 참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1
121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①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6 41
120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2 41
119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 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6 41
118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41
117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문제 25)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1 42
116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115 230. 미사전례 중 사람이 쓰러졌는데도 계속 미사만 진행하는 모습에 실망했습니다. 잠시 중단하고 환자를 배려하는 게 도리가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42
114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0 42
113 8.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불의한 일에도 적용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8 43
112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8 43
111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0 43
110 322.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6 43
109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3 44
108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8 44
107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9 45
106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6 45
105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104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문제 4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5
103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0 45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