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 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09,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너무합니다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194. 사람이 사람에게 죄의 용서를 청한다는 사실이 어색합니다속속들이 내 잘못을 밝히기가 조심스럽고 내 죄를 털어놓는 것도 불편합니다.

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어떻게 할까요?

197. 개신교를 기독교라고 했다고 수녀님께 야단을 들었습니다너무 놀라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묻지도 못했는데요자꾸만 억울한 생각이 듭니다설명해 주세요. (문제 36)

198. 신부님께서 성체를 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 하시는데 아멘이라고 제대로 답하지 않았다고 몇 번이나 하세요하세요라는 추궁을 당해서 너무 부끄럽고 민망했습니다꼭 아멘이라고 소리를 내서 말해야 합니까?

199. 지각했습니다성체를 모시러 나갔다가 신부님께 꾸중을 들었습니다늦어서 자격이 없다고 거절당했습니다미리 와서 준비하지 못한 잘못보다 너무 부끄럽고 창피해서 미사에 가지 못하겠다는 생각만 듭니다독서가 끝나기 전에 가면 영성체를 할 수 있지 않나요?

 
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 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교회는 성실한 양심성찰을 통해서 살피고 걸러낸 중죄를 고해할 것을 권합니다.
하지만 그 고해 내용이 상세하거나 상세하지 않은 점에 무게를 두지 않습니다.
미주알고주알 나열한들 돌아서 변화되지 않는다면’, ‘다시 또 같은 죄를 범할 생각이라면소용이 없는 일이니까요.
고해는 죄에서 죽고 새로운 삶으로 부활하기를 갈망하는 의지로 죄를 고발하는 행위입니다.
자신의 죄를 입으로 고백하는 행위는 자신의 죄를 숨기려는 원의와 맞서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고해가 정직하고 용기 있는 행위이며 죄를 뛰어넘어 용서하시는 자비에 자신을 온전히 맡기는 믿음의 모습인 까닭입니다.
고해에는 상세하고 장황한 상황설명이나 넋두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차라리 자신의 죄를 인식하면서도 다 말할 수조차 없는 심정을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전혀 변화될 것 같지 않은 괴로움을 토로할 수도 있겠습니다.
죄를 떨쳐내고 싶은 마음이라면, 죄에서 해방되려는 원의가 있다면 그분께서 힘을 주시고 용기를 북돋워 주시는 은혜의 자리입니다.
때문에 숨김없는 진솔 된 마음이 가장 중요합니다.
고해는 회개를 향한 우리의 몸부림이라고 표현해 드리고 싶네요.
과거의 삶을 단호히 청산하고 아버지의 품에 안기는 감격을 얻는 자리에서 모고해일까 아닐까 저울질하며 마음고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