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너무합니다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194. 사람이 사람에게 죄의 용서를 청한다는 사실이 어색합니다속속들이 내 잘못을 밝히기가 조심스럽고 내 죄를 털어놓는 것도 불편합니다.

195. 고해성사 때 상세하게 그 내용을 고해해야 하나요있는 그대로 모두 고해하지 않으면 모고해라고 하던데요.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어떻게 할까요?

197. 개신교를 기독교라고 했다고 수녀님께 야단을 들었습니다너무 놀라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묻지도 못했는데요자꾸만 억울한 생각이 듭니다설명해 주세요. (문제 36)

198. 신부님께서 성체를 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 하시는데 아멘이라고 제대로 답하지 않았다고 몇 번이나 하세요하세요라는 추궁을 당해서 너무 부끄럽고 민망했습니다꼭 아멘이라고 소리를 내서 말해야 합니까?

199. 지각했습니다성체를 모시러 나갔다가 신부님께 꾸중을 들었습니다늦어서 자격이 없다고 거절당했습니다미리 와서 준비하지 못한 잘못보다 너무 부끄럽고 창피해서 미사에 가지 못하겠다는 생각만 듭니다독서가 끝나기 전에 가면 영성체를 할 수 있지 않나요?

 
194. 사람이 사람에게 죄의 용서를 청한다는 사실이 어색합니다. 속속들이 내 잘못을 밝히기가 조심스럽고 내 죄를 털어놓는 것도 불편합니다.

 

교회는 세상 안에 그리스도께서 살아계시고 섭리하신다는 진리를 증거하기 위해서 존재합니다.
세상에 하느님과 인간의 화해를 드러내는 교회가 화해의 표지이며 도구가 되어야 하는 이유이지요.
때문에 우리는 이기적인 삶과의 단절을 수없이 선언합니다.
삶의 과정을 세세히 살피며 더 나은 삶을 살겠다고 각오합니다.
그럼에도 거듭 죄를 짓습니다.
고해성사는 죄에서 자유롭지 못한 인간의 한계를 헤아리신 그분의 축복이기에 교회 생명의 원천입니다.
수없이 다짐하고서도 잊어버리고 때마다 맹세하고서도 또 허물어버리는 어리석음을 가엾이 여기시어 세워주신 유일한 대책입니다.
허하고 약한 인간을 위한 그분 사랑의 선물입니다.
이 기회를 통해서 고해소에서 죄를 사해주시는 분은 인간 사제가 아니라 주님이심을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이 진리는 사제가 느끼는 가장 탁월한 신비이며 매 성사에서 거듭 체험된다는 사실을 고백해 드립니다.
사제는 그분의 용서가 베풀어지는 현장에 사용될 뿐입니다.
듣지만 기억하지 못하는 신비로 사로 잡아 오직 도구로만 쓰십니다.
진실된 고해를 하신 신앙인이라면 저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시리라 믿습니다.
불편할 이유도 없고 어색할 까닭도 없습니다.
고해소에는 그분께서 계십니다.
어서 그분과 만나도록 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 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61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60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문제 2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0
59 135 종교 신문의 묘자리 광고에서 “명당자리”라는 문구를 봅니다. 세상의 생각을 그대로 따르는 표현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4 10
58 132. 황당한 질문입니다만, 조상들이 믿었던 기복적인 천지신명과 지금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 같은 하느님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1 10
57 328. 강의에서 “우리에게 일정량의 분노는 있어야 한다. 죄라고 생각 말고 하느님이 주신 감정임을 기억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는 수단과 에너지로 사용해야 한다”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분노가 죄인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어떻게 참아내야 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4 9
56 복된 속삭임으로 행복해지세요(소곤소곤 7권, 장재봉스테파노)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1 9
55 233. 동생이 20년 동안 정신과 치료 중입니다. 병원에서는 퇴원을 종용하지만 약물중독 증세와 정신이 온전치 못할 때도 많아서 불안합니다. 어떻게 하는 게 옳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9
54 232. 뜻도 모르고 읽는 성경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요. 비몽사몽 바치는 염경기도나 집중하지 못하는 미사참여도 효과가 있는지요? 모두, 그분을 우롱하는 일이 아닐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9
53 225. 성당 다닌 지 수십 년인데, 아직도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9
52 214. 예전에는 8월 15일을 성모몽소승천 대축일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몽소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9
51 209. “엘리사는 (…)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 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50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49 206. 사무엘기 하권 24장과 역대기 상권 21장에 의문이 듭니다. ‘인구 조사’를 한 것이 왜 주님 보시기에 악하고 역겨운 일이었는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 194. 사람이 사람에게 죄의 용서를 청한다는 사실이 어색합니다. 속속들이 내 잘못을 밝히기가 조심스럽고 내 죄를 털어놓는 것도 불편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9
47 14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예전과 다른 요즘 아이들을 가르치기가 너무 힘듭니다. 아이들 마음을 사로잡고 싶습니다. 좋은 교사가 되는 법을 알려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9
46 327. “(…) 당신은 4일 이내에 이 메시지 20통을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아는 사람에게 보내면, 당신은 4일 전에 놀라운 사실을 들을 것입니다. (…) 귀찮더라도 이행하세요!” 이런 비슷한 문자를 신앙심이 깊다는 사람도 자꾸 보내와 이젠 내가 틀렸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3 8
45 321. 최근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 부업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이 일이 공정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돈을 생각하면 이 일을 해야 하고, 계속 하자니 주님의 노여움을 피할 수 없을 것 같고……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5 8
44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 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7 8
43 299.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3 8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