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속상합니다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정말 죄가 됩니까?

186. 모태 신앙인입니다세례로 모든 죄가 씻어졌다는 걸 믿습니다그런데 요즘 잠자리에서 자꾸 지난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이 생각납니다주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어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다시 총고해를 해야 할까요?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이유가 무엇이지요?

190. 송구한 마음에 성체를 영하지 않았는데 너 무슨 큰 죄 지었노?”라는 대부님 말씀을 들은 후부터 시선을 의식합니다덥썩 성체를 모셔 버립니다잘못이지요?

191.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합니다고해성사 때마다 신부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을까봐 마음이 졸아들고 걱정이 앞섭니다글로 대신할 수 없을까요?

192. 시댁은 가톨릭에서 불교로 개종했습니다저희들만 신자인데 명절 때면 노골적으로 싫은 눈치를 줍니다시아버님은 성당 소리만 들어도 싫다고성당 건축할 때 모두가 도둑놈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뼈 속에 새겼다고 하십니다죄송합니다이 표현을 그대로 옮긴 점 이해해 주세요하느님을 부인하고다시 알려고도 하지 않는 시댁 가족과 어떻게 지내야합니까설 명절이 다가오니 다시 가슴이 답답합니다.


191.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합니다. 고해성사 때마다 신부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을까봐 마음이 졸아들고 걱정이 앞섭니다. 로 대신할 수 없을까요?

 

고백은 지금 그 자리에 있는 사제에게 이루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리고 편지로 죄를 고백하거나 사하는 것을 금합니다.
이러한 매체를 통해서는 직접적이고 상호적인 관계를 대신할 수 없으며 참회자가 처한 상황을 사제가 정확히 판단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고해는 비밀적이고 청각적이어야 하며 단 한 사람이 한 사제에게만 가능합니다.
약혼자나 배우자의 공동 고백을 하는 일도 잘못된 배려입니다.
하지만 통역을 통한 고백은 다른 나라 언어 통역만이 아니라 의사표현이 어려운 경우에도 가능합니다.
사제는 그 언어를 알아듣지 못하지만 그 말의 의미를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이면 된다는 뜻입니다.
다만 이런 경우, 통역자에게는 철저하게 비밀을 지킬 의무가 따릅니다.
고백은 말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임종자나 격한 감정에 사로잡혀 심리적인 장애로 표현이 어렵다면 몸짓과 표정과 글로 적는 것을 허락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때에도 고해사제가 고백한 죄를 이해하고 참회자의 준비된 마음을 판단할 수 있을 경우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형제님께서는 본당 신부님께 사정을 말씀드린다면 적절한 성사생활을 하도록 따뜻하게 배려해 주실 것입니다.
고해성사로 신앙생활에 더욱 열심해지기 원하는 형제님을 기쁘게 응원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9
181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180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 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179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8 43
178 259. 성탄절을 왜 크리스마스라고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5
177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4
176 257.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1
175 256. 늘 방송과 글을 통한 신부님의 가르침에 감사드리는 신자입니다.^^ 그런데 성경읽기를 너무 강조하십니다. 꼭 성경을 읽어야만 좋은 신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 않나요? 성경을 읽지 않는 사람은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겠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2
174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6
173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172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 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 고민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7
171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7
170 251. 착하게 살면 되지, 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7
169 250.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납득이 어렵습니다. 교리 선생님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문제 4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6
168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7 72
167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166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 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 (문제 4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8
165 247. 친정은 불교입니다. 저는 천주교 신자지만 49재를 올리는 친정 식구들을 따라 불경을 외우고 절도 하고 불전에 돈도 올리고 영전에도 돈을 올렸습니다. 아버지 49재이기에 절에서 불경을 외우고 불상에 큰절도 하고 있는데 신자로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 또 딸의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좋은 방법은 없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13
164 246. 요즘 아기 백일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할머니께 비는 것이 유행입니다. 우리의 전통풍습이니 이벤트행사로 해주고 싶습니다. 기도이니까 괜찮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4
163 245. 성전의 장궤틀에 만들어 놓은 가방걸이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장궤틀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나사로 박아 놓은 가방걸이는 장궤틀을 단순한 의자로 생각하여 설치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편의상 무릎을 끓을 수 있는 틀을 없애고 의자용도로만 만드는 것... 편의대로만 한다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가방걸이를 없애면 좋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1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