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속상합니다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정말 죄가 됩니까?

186. 모태 신앙인입니다세례로 모든 죄가 씻어졌다는 걸 믿습니다그런데 요즘 잠자리에서 자꾸 지난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이 생각납니다주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어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다시 총고해를 해야 할까요?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이유가 무엇이지요?

190. 송구한 마음에 성체를 영하지 않았는데 너 무슨 큰 죄 지었노?”라는 대부님 말씀을 들은 후부터 시선을 의식합니다덥썩 성체를 모셔 버립니다잘못이지요?

191.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합니다고해성사 때마다 신부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을까봐 마음이 졸아들고 걱정이 앞섭니다글로 대신할 수 없을까요?

192. 시댁은 가톨릭에서 불교로 개종했습니다저희들만 신자인데 명절 때면 노골적으로 싫은 눈치를 줍니다시아버님은 성당 소리만 들어도 싫다고성당 건축할 때 모두가 도둑놈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뼈 속에 새겼다고 하십니다죄송합니다이 표현을 그대로 옮긴 점 이해해 주세요하느님을 부인하고다시 알려고도 하지 않는 시댁 가족과 어떻게 지내야합니까설 명절이 다가오니 다시 가슴이 답답합니다.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자발적 열의에 어울리게 여러분의 형편에 따라 그 일을 마무리 지으십시오.
열의만 있으면 형편에 맞게 바치는 것은 모두 기꺼이 받아들여지고, 형편에 맞지 않는 것은 요구되지 않습니다”(2코린 8,11-12)라는 말씀처럼 헌금은 우리의 기쁨과 평화를 원하시는 그분께 바치는 감사의 표지입니다.
주님께서는 헌금 약속 액수를 채무로 기록하는 분이 아니실 뿐 아니라 약속한만큼은 꼭 받아내야만 속이 풀리는 채권자는 더더욱 아니십니다.
긴 냉담을 풀고 돌아온 사실만으로 하느님께서는 지난 잘못을 모두 잊으셨습니다.
오직 다시 돌아온 자매님의 결단을 기뻐하실 뿐아니라 주님과의 약속을 기억하는 아픈 마음까지 헤아리시는 아버지이십니다.
불가피한 사정을 모두 알고 이해하신다는 것을 믿고 지난 일에 마음이 묶이지 않기 바랍니다.
그럼에도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것 같다면 본당 신부님과 의논하시면 하느님 나라 건설에 유익한 방법을 찾아주실 것입니다.
무엇보다 돌아와그분께 기쁨이 되신만큼 다시는 도망치지 않는 그분의 든든한 자녀로 자리메김하여 성장하는 일이 소중하다는 것을 말씀 드립니다.
확고한 믿음으로 마음의 짐을 벗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336. 저는 가끔 주님의 존재에 대해서 의심하게 됩니다. 신부님은 그런 적 없으시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2 29
201 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 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문제 3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9
200 320.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복음서에 세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 세무관련 직업이 자본주의의 핵심에 해당되고 왠지 주님께서 그리 좋아하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4 28
199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8
198 236. 사정상 다른 본당 미사에 참석했다가 ‘명찰을 달지 않았다’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명찰을 갖고 다닐 수는 없잖아요? 이제 본당 미사가 아니면 참석하지 못하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28
197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문제 3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8
196 81. 향주삼덕을 통하여 하느님과 일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 방법을 일러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1 28
195 244. 주일 미사에 빠졌으면서도 뻔뻔스럽게 성체를 영하는 신자들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할 듯하여 건의합니다. 성사를 봐야 한다고 슬쩍 일러주어도 못들은 척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속이 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7
194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1 27
193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0 27
192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 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8 26
191 212. 성탄절과 다르게 부활절은 매년마다 날짜가 바뀌는데 그 날짜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제 3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6
190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25
189 152. 독서 후에 낭독자가 “주님의 말씀입니다”라고 하면 모두 “하느님 감사합니다.”라고 응답하는 반면에 복음이 낭독된 후에는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2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5
188 123. 성경에는 “어떤 신상도 만들어서는 안 되고 경배하지도 말라”(탈출 20,5) 하는데 성상에 절하고 비는 것은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닌가요? (문제 24)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0 25
187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 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 고쳐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24
186 246. 요즘 아기 백일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할머니께 비는 것이 유행입니다. 우리의 전통풍습이니 이벤트행사로 해주고 싶습니다. 기도이니까 괜찮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4
185 한 말씀 올립니다 (2008년 안식년 끝자락에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9 24
184 319.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 “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 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3 23
183 283.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3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