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08,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속상합니다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정말 죄가 됩니까?

186. 모태 신앙인입니다세례로 모든 죄가 씻어졌다는 걸 믿습니다그런데 요즘 잠자리에서 자꾸 지난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이 생각납니다주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어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다시 총고해를 해야 할까요?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이유가 무엇이지요?

190. 송구한 마음에 성체를 영하지 않았는데 너 무슨 큰 죄 지었노?”라는 대부님 말씀을 들은 후부터 시선을 의식합니다덥썩 성체를 모셔 버립니다잘못이지요?

191.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합니다고해성사 때마다 신부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을까봐 마음이 졸아들고 걱정이 앞섭니다글로 대신할 수 없을까요?

192. 시댁은 가톨릭에서 불교로 개종했습니다저희들만 신자인데 명절 때면 노골적으로 싫은 눈치를 줍니다시아버님은 성당 소리만 들어도 싫다고성당 건축할 때 모두가 도둑놈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뼈 속에 새겼다고 하십니다죄송합니다이 표현을 그대로 옮긴 점 이해해 주세요하느님을 부인하고다시 알려고도 하지 않는 시댁 가족과 어떻게 지내야합니까설 명절이 다가오니 다시 가슴이 답답합니다.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자발적 열의에 어울리게 여러분의 형편에 따라 그 일을 마무리 지으십시오.
열의만 있으면 형편에 맞게 바치는 것은 모두 기꺼이 받아들여지고, 형편에 맞지 않는 것은 요구되지 않습니다”(2코린 8,11-12)라는 말씀처럼 헌금은 우리의 기쁨과 평화를 원하시는 그분께 바치는 감사의 표지입니다.
주님께서는 헌금 약속 액수를 채무로 기록하는 분이 아니실 뿐 아니라 약속한만큼은 꼭 받아내야만 속이 풀리는 채권자는 더더욱 아니십니다.
긴 냉담을 풀고 돌아온 사실만으로 하느님께서는 지난 잘못을 모두 잊으셨습니다.
오직 다시 돌아온 자매님의 결단을 기뻐하실 뿐아니라 주님과의 약속을 기억하는 아픈 마음까지 헤아리시는 아버지이십니다.
불가피한 사정을 모두 알고 이해하신다는 것을 믿고 지난 일에 마음이 묶이지 않기 바랍니다.
그럼에도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것 같다면 본당 신부님과 의논하시면 하느님 나라 건설에 유익한 방법을 찾아주실 것입니다.
무엇보다 돌아와그분께 기쁨이 되신만큼 다시는 도망치지 않는 그분의 든든한 자녀로 자리메김하여 성장하는 일이 소중하다는 것을 말씀 드립니다.
확고한 믿음으로 마음의 짐을 벗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