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아리아리합니다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177. 성당 어르신께서 묵주는 방사를 놓고’ 집은 축복하고 성전은 축성한다 하시던데어떤 차이가 있는 것입니까? (문제 35)

178. 성지순례 중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님과 함께 안젤루스’ 기도를 바쳤습니다이 기도가 삼종 기도입니까?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180. 미사 중에 바치는 주님의 기도에는 왜 아멘을 하지 않습니까?

181. 본당신부님께서 까만 미사보는 장례 미사용이라 하셨습니다그런데도 미사에서 까만 미사보를 사용하는 자매님을 보게 되니 딱합니다까만 미사보는 일반 미사용이 아니라는 걸 설명해 주십시오.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183. 72세의 노인입니다옛날에 금육은 네 발 가진 짐승에 한한다고 배웠습니다그러면 두 발 달린 닭고기는 가능한가요금육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알고 싶습니다.


184.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184.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 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결혼에 있어서 신앙은 뒷전이고 다른 조건들을 우선하는 세태를 보며 사제로써 안타까운 마음을 금하기 어렵습니다.
교회가 인정하는 결혼을 성사혼이라 하는데요. 성사혼은 신랑 신부 모두가 세례를 받고 교회법에 따른 혼인을 거행할 때에만 이루어집니다.
쉽게 설명해서 두 남녀가 사제 앞에서 교회의 양식에 입각하여 혼인을 해야만 교회의 인정을 받는 것입니다.
이는 신앙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신앙을 지키고자 하는 교회의 의도임을 이해하세요.
조당(阻擋)이란 혼배성사와 관련된 말로써 방해, 지장, 장애 등을 뜻하는 한자어인데 교회가 인정하는 결혼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때문에 한 쪽만 신자일 경우에는 반드시 관면혼배를 받아야 합니다.
예식장에서의 결혼식을 올렸을지라도 교회는 혼인으로 인정하지 않고 동거로 판단합니다.
성사혼이나 관면혼이 아닐 경우에는 혼인의 상태가 아니기에 다른 성사 생활, 즉 성체를 영하거나 고해성사를 할 수 없는 조당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세례를 받기 전에 사회혼을 한 이후 세례를 받을 시에는 혼배성사를 따로 거행하지 않습니다.
대자분은 현재 조당 상태이니 빠른 시일 내에 관면 혼배를 받도록 이끌어 주고 도와주세요.
계속 굳은 믿음으로 지혜를 가르치는 훌륭한 대부님으로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136. TV에서 가톨릭 신앙인이 무속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영세를 받은 사람에게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5 23
181 130. 혼자 세례를 받았습니다. 종교가 다른 부모님의 반대가 심한데 어찌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8 23
180 319.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 “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 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3 22
179 283.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2
178 263. 본당 신부님께서 자기 축일에도 미사를 넣는 게 좋다하셨지만 스스로 축복을 받으려는 모습이라 선뜻 내키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22
177 222. 성당을 다니다가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이지요? 그런데 성당 다닐 때보다 더 열심히 활동하는 동생과 친구를 보면 하느님을 깨닫고 열심히 다니면 되는 것이라 싶네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2
176 213. 김대건 신부님의 축일이 왜 7월 5일인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 (문제 3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2
175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 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2
174 68.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6 22
173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5 22
172 337. 전교를 하다보면 “신앙생활이 어떤 유익을 주나?”라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 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3 21
171 3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1 21
170 282. 미사가 크나요? 기도가 크나요? 본당 신부님은 “기도가 더 크다”고 하시면서 계속 기도하면 언젠가는 은혜 받는다고 말씀하시던데, 정말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1
169 245. 성전의 장궤틀에 만들어 놓은 가방걸이가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장궤틀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나사로 박아 놓은 가방걸이는 장궤틀을 단순한 의자로 생각하여 설치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편의상 무릎을 끓을 수 있는 틀을 없애고 의자용도로만 만드는 것... 편의대로만 한다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가방걸이를 없애면 좋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1
» 184.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 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21
167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1 21
166 309. 왠지 하느님께서는 저를 용서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3 20
165 190. 송구한 마음에 성체를 영하지 않았는데 “너 무슨 큰 죄 지었노?”라는 대부님 말씀을 들은 후부터 시선을 의식합니다. 덥썩 성체를 모셔 버립니다. 잘못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0
164 148. 성당에서 맡은 일이 버겁습니다. 시간도 능력도 모자란데 하는 수 없이 맡고 보니 겁이 납니다. 이래도 순명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0
163 장재봉 신부님의 <소곤소곤 얼추 알겠습니다>에 부쳐(천주교 전주교구 교구장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1 20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