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아리아리합니다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177. 성당 어르신께서 묵주는 방사를 놓고’ 집은 축복하고 성전은 축성한다 하시던데어떤 차이가 있는 것입니까? (문제 35)

178. 성지순례 중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님과 함께 안젤루스’ 기도를 바쳤습니다이 기도가 삼종 기도입니까?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180. 미사 중에 바치는 주님의 기도에는 왜 아멘을 하지 않습니까?

181. 본당신부님께서 까만 미사보는 장례 미사용이라 하셨습니다그런데도 미사에서 까만 미사보를 사용하는 자매님을 보게 되니 딱합니다까만 미사보는 일반 미사용이 아니라는 걸 설명해 주십시오.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183. 72세의 노인입니다옛날에 금육은 네 발 가진 짐승에 한한다고 배웠습니다그러면 두 발 달린 닭고기는 가능한가요금육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알고 싶습니다.

184.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 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성격이 매우 칼클하신 형제님이신 모양입니다.^^
사제의 파견으로 미사가 종결되었는데 또 다른 기도를 하는 것으로 파견의 의미가 희석될 것이라고 염려하십니까?
혹은 기도의 시간을 지켜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어 질문하신 것입니까?
물론 파견의 의미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미사 후의 기도는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바치는 것이 전례적으로 옳습니다.
하지만 미사에 참여한 교우들이 다시 모여 함께 한 마음으로 기도하기가 어렵지 않습니까?
삼종 기도에 익숙치 않은 신자들을 위해서 비록 시간대가 정오에 좀 이르거나 약간 지나더라도 함께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기도를 놓치는 것보다 백번, 미루고 빼먹는 것보다 훨씬, 바람직한 일이란 뜻입니다.
자주, 함께, 기도하는 공동체가 되어 주님을 사랑하는 선수가 많아지기를 원하는 사목자의 마음을 읽기 바랍니다.
정오에 근접한 시간에 종료되는 교중 미사를 통해서 좀 더 많은 신자들에게 기도의 은총을 누리게 하려는 사목적인 배려이니 기꺼운 마음으로 동참하면 좋겠습니다.
함께 기도하는 모습만큼 주님 마음에 드시는 아름다운 행위는 없습니다.
삼종 기도를 통해서 하루에 세 번, ‘은총이 가득한은혜의 시간을 챙기는 복된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141. 일주일에 한 번씩 봉성체(奉聖體)를 오시는데 너무 자주 오니까 괜히 부담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0 18
221 163. 저희 본당은 해설자의 멘트가 없이 침묵시간을 갖습니다. 왜 타 본당에서는 매일미사에 있는 묵상글을 읽거나 음악 연주 등으로 침묵 시간을 빼앗는지요. 좋은 말과 음악이 묵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예수님과의 대화시간을 없애는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8
220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 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8
»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 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8
218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 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 (문제 3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8
217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 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 (문제 4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8
216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2 18
215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 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9 18
214 권하는 글 (천주교 부산교구 교구장 황철수 바오로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8 19
213 90. 묵주기도 중에, 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1 19
212 139. 주보를 갖고 오려다 지적을 당했습니다. 본당에 주보가 모자라니, 두고 가라 하던군요. 주보는 교회를 알리는 홍보용이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8 19
211 145. 연옥은 무서운 곳인데 왜 ‘복되다’고 말합니까? 연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9
210 218. ‘자비의 예수님’ 성화에는 예수님 가슴에서 붉고 푸른 빛이 나오는 것이 그려져 있는데 어떤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9
209 241. 세례식이 있던 날, 외부에서 꽃을 구입하지 말고 성당에서 사라는 공지사항이 있었습니다. “교회가 하느님의 존재 자체를 떠나 약자를 도우기 위한 단체”라면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꽃 장사를 돕는 게 당연한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208 242. 두 주일마다 미사에 참석합니다. 성사를 보면서 늘 너무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사정상 미사에 빠질 경우, 주님의 기도를 3단 외우면 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207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9
206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 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9
205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4 19
204 325.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 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 관면 혼배 등의 절차를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1 19
203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1 1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