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헛갈립니다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뭐라고 설명할까요(문제 33)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175.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 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문제 34)
 

175.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 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 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제사를 지낼 수 있다는 교회의 결정을 제사를 지내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여기고 제사를 지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하셨네요.
혹간 다른 신자가 제사를 지내는 것을 보고 지내지 않던 제사까지 챙기는 분도 있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심지어 주자가례에 따른 예법을 준수하느라고 상을 차리는 방식절하는 방법과 순서에 연연하고 생선대가리 방향을 따지는 어리석은 가정도 있다니, 딱하고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
조상님께 죄송해서 이왕이면 제대로라는 생각으로 유교식 제사를 모시려 하다니, 정말 왜 이러십니까?
하느님의 의향을 팽개치고 이것저것 좋다는 것을 모두 가지려는 생각이 신앙을 좀 먹게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이왕이라는 마음과 타협하지 않습니다.
이왕이라고 폼나게 차려 뽐내려는 마음을 하느님께서 받으시겠는지요?
교회와 판이한 내세관을 지닌 유교식의 제사는 그리스도교의 근본 교리에 위배됩니다.
교회는 유교식 상차림, 절하는 자세, 음식의 종류나 차림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가톨릭교회는 유교식 제사 방법을 결코 허용한 적이 없습니다.
한국인-그리스도인의 제사는 하느님의 축복을 찬미하며 조상님의 사랑을 기억하는 마음의 자유로운 경배입니다.
이 땅에서 존재하는 가장 아름답고 복된 제사는 연미사입니다.

 

문제 34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 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34-1) 교회와 판이한 내세관을 지닌 유교식의 제사는 그리스도교의 근본 교리에 위배됩니다. 교회는 유교식 상차림, 절하는 자세, 음식의 종류나 차림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가톨릭교회는 유교식 제사 '방법'을 허용한 적이 없습니다.
한국인(그리스도인)의 제사는 하느님의 축복을 찬미하며 조상님의 사랑을 기억하는 마음의 '자유로운 경배'입니다.
이 땅에서 존재하는 가장 아름답고 복된 제사는 무엇입니까?

) 연미사 또는 위령미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 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201 192. 시댁은 가톨릭에서 불교로 개종했습니다. 저희들만 신자인데 명절 때면 노골적으로 싫은 눈치를 줍니다. 시아버님은 성당 소리만 들어도 싫다고, 성당 건축할 때 모두가 도둑놈들이라는 사실을 알고 뼈 속에 새겼다고 하십니다. 죄송합니다. 이 표현을 그대로 옮긴 점 이해해 주세요. 하느님을 부인하고, 다시 알려고도 하지 않는 시댁 가족과 어떻게 지내야합니까? 설 명절이 다가오니 다시 가슴이 답답합니다. ​​​​​​​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30
200 191.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합니다. 고해성사 때마다 신부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을까봐 마음이 졸아들고 걱정이 앞섭니다. 글로 대신할 수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7
199 190. 송구한 마음에 성체를 영하지 않았는데 “너 무슨 큰 죄 지었노?”라는 대부님 말씀을 들은 후부터 시선을 의식합니다. 덥썩 성체를 모셔 버립니다. 잘못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0
198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유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5
197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8
196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3
195 186. 모태 신앙인입니다. 세례로 모든 죄가 씻어졌다는 걸 믿습니다. 그런데 요즘 잠자리에서 자꾸 지난날에 저질렀던 잘못들이 생각납니다. 주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어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다시 총고해를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31
194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 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 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 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 정말 죄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62
193 184. 대자가 비신자와 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도 교리적으로 조당에 해당하는지요? 알쏭달쏭해서 여쭈어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21
192 183. 72세의 노인입니다. 옛날에 금육은 네 발 가진 짐승에 한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두 발 달린 닭고기는 가능한가요? 금육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44
191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 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3
190 181. 본당신부님께서 까만 미사보는 장례 미사용이라 하셨습니다. 그런데도 미사에서 까만 미사보를 사용하는 자매님을 보게 되니 딱합니다. 까만 미사보는 일반 미사용이 아니라는 걸 설명해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51
189 180. 미사 중에 바치는 주님의 기도에는 왜 ‘아멘’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54
188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 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8
187 178. 성지순례 중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님과 함께 ‘안젤루스’ 기도를 바쳤습니다. 이 기도가 삼종 기도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7
186 177. 성당 어르신께서 묵주는 ‘방사를 놓고’ 집은 ‘축복’하고 성전은 ‘축성’한다 하시던데, 어떤 차이가 있는 것입니까? (문제 35)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46
185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 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 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 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 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9
» 175.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 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 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문제 3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2
183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 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8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