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헛갈립니다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뭐라고 설명할까요(문제 33)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175.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 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문제 34)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 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하느님의 꿈은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1베드 1,16)는 명령에서 드러납니다.
거룩한 삶을 살아내는엄청난 반전이 필요하다는 뜻이지요.
우리의 모자람과 허접함에도 불구하고 하느님의 자녀로 살아갈 수 있기에 복음입니다. 이를 믿는 것이 신앙이지요.
그리스도인은 어느 누구도 보통사람이 아닙니다.
당신나라의 백성으로 승격된 하느님께 매우 특별한 존재이니까요.
때문에 차별하지 않으시는 주님의 분명한 지침에 따라 살아야 옳습니다.
예수님처럼 사랑으로만 살아야 옳습니다.
그분의 자비가 내가 아니라 내 안에 그리스도가 사는몸으로 변화시켜주십니다.
주님 주님입으로 부르면서도 그분 말씀대로 행하지 않는삶은 결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그리스도인의 모습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받은 이들을 신”(요한 10,34)이라고 밝히신 주님께서는 온 그리스도인들이 하느님의 뜻을 살아내지 못하도록 막는 법은 세상에 없다고 분명히 이르셨습니다(갈라 5,22-23 참조).
그 경지에 이르도록 돕기 위해서 성령께서 오셨습니다.
그분의 초대에 응하는 누구나 천국가족의 자격을 얻습니다.
천국의 가족이 되는 길에서 영혼의 상태에 따라 하느님에 의해 정화의 과정을 거친다고 교회는 가르칩니다.
세상과 다른 가치관으로 하느님만을 희망하며 살아가는 성인의 삶이 그리스도인의 분명한 목표입니다.
천국은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152. 독서 후에 낭독자가 “주님의 말씀입니다”라고 하면 모두 “하느님 감사합니다.”라고 응답하는 반면에 복음이 낭독된 후에는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2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5
201 153. 미사 중에 복음말씀을 사제와 전 신자들이 함께 읽는 본당이 있던데요, 옳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2
200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199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문제 2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0
198 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 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문제 3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9
197 157. “기복적인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야베츠는 복을 빌어 응답받지 않았습니까? 복을 얻어 복을 끼치고 살면 좋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5
196 158. 사순절(四旬節)이 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인가요? (문제 3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4
195 159. 신앙을 강요할 수 있습니까? 아이가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유아세례를 주지 않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2
194 160. 곧 세례 받을 날이 다가오는데 교리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 영세를 미루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193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8
192 162. 퇴장 성가로써 미사가 종료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신자들도 퇴장할 수 있지 않나요? 그런데 영광송으로 다시 마침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6
191 163. 저희 본당은 해설자의 멘트가 없이 침묵시간을 갖습니다. 왜 타 본당에서는 매일미사에 있는 묵상글을 읽거나 음악 연주 등으로 침묵 시간을 빼앗는지요. 좋은 말과 음악이 묵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예수님과의 대화시간을 없애는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8
190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189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25
188 166. 그리스도인은 세례로써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 계속 고해성사를 통해서 죄를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하느님의 구원이 은총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로 얻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187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186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 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 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9
185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35
184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문제 3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8
183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