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문제 33)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06,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헛갈립니다


 

168. 저희 가족이 함께 구일기도를 올리는 중입니다청원기도를 마치고 감사기도를 시작했는데 여의치 않는 사정으로 하루가 빠졌습니다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나요아버지 혼자서 기도하셨다고 하지만 가족이 같이 바쳤던 기도라 자꾸 찜찜한 기분이 듭니다.

169. 묵주기도의 매 단이 끝날 때마다 구원송을 바치는데 이 정체불명의 기도문을 공식전례에서 사용하는 점이 의문스럽습니다. (문제 32)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뭐라고 설명할까요(문제 33)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172. 사제용 큰 빵을 받고 기뻐하는 교우를 보면서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는 부러웠습니다한편 신부님께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175. 교회가 제시하는 제사 방법이 미진해서 늘 조상님께 죄송한 마음입니다이왕이면 유교식으로 제대로 지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문제 34)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할까요?

가톨릭이 성모 마리아를 믿는다고 오해 받고, 성모님을 숭배하는 종교로 여겨지는 저변에는 우리들 탓이 큽니다.
그런 잘못된 인식을 똑바로 알려주지 못한 신앙의 무지 탓입니다.
하느님을 믿고 그리스도의 구원을 믿는다는 확신이 얕은 것을 아프게 지적해 드립니다.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라고 말하는 그들에게 가톨릭은 예수님의 이름으로미사를 거행하며 예수님의 이름으로기도를 바치는 하느님의 교회임을 분명히 밝히셨는지요?
덧붙여 성모님은 하느님께서 바라시고 원하시는 최대치의 사랑으로 그분을 사랑하셨다는 점을 일러 주셨는지요?
성모님은 예수님을 낳아 기르신 어머니이십니다.
세상의 어느 누구도 어머니의 그 큰 사랑만큼 예수님을 사랑해 드릴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천국의 보상과 축복을 약속하셨습니다.
이는 하느님의 피조물인 마리아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예수님을 더할 나위 없이 사랑했고 온 삶으로 헌신했던 마리아에게 하늘에서의 축복이 그만큼 크고 특별할 것은 분명한 결과입니다.
아울러 성모님께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기도에 성모님께서 함께 기도하시며 아들 예수님께 우리의 청을 전해 주신다는 걸 확실히 설명하기 바랍니다.
성모 어머니를 사랑하고 존경하는 자녀의 기쁨을 전하면 좋겠습니다.

문제 33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33-1) 개신교에서는 가톨릭이 성모마리아를 믿는다고 오해를 하고 성모님을 숭배하는 종교로 여겨지는 저변에는 우리의 탓이 큽니다.
우리는 하느님을 흠숭하고 성모님을 공경합니다. 그것은 성모님이 하느님의 어머니로서 순명과 사랑을 하셨고 온 삶을 헌신하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성모님께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성모님과 함께 기도하며 아들 예수님께 우리의 부탁을 전해 주시도록 청하는 것을 무엇이라 합니까?

) 전구(轉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