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 꽃 피우기

가톨릭부산 2022.01.05 11:00 조회 수 : 34

호수 2687호 2022. 1. 9 
글쓴이 조수선 안나 
예수님 꽃 피우기

 
 
조수선 안나 / 연산성당, 시인
suny4616@daum.net

 
  메마른 가지에 마지막 잎새마저 떠나보낸 나무는 자신의 소임을 다 마친 듯 홀가분하게 보입니다. 그런 나무를 바라보노라면 제 마음도 평안해지는 것을 느낍니다. 나무도 그러한데 하물며 저는 꼭 해야 할 일을 못하고 있는 것만 같아 마음 한편이 답답하고 무겁기만 합니다. 주일 미사 참례와 기도 생활을 제 나름대로 열심히 한다고는 하지만 외손자가 여섯 살이 되도록 아직 세례도 못 받고 주일학교도 못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성당에 가서 앉아 있으면 주님께서 ‘또 너 혼자 왔느냐?’하고 나무라시는 것만 같아 부끄럽습니다.
 
   오늘은 손자가 유치원 안 가는 날. 어렸을 때는 기도손도 곧잘 하고 성호경도 잘 따라 하던 손자가 요즘은 TV 보기를 더 즐겨합니다. 그래도 저는 손자 따라 함께 만화도 보고 팽이도 돌리면서 때를 기다립니다. 드디어 점심시간이 지나서야 그때가 왔습니다.
 
   손자가 이제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놀이를 하자고 저를 일으켜 세웁니다. 저는 흔쾌히 그러자 하고 오늘은 무궁화 대신 예수님을 넣어 “예수님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술래가 “예수님 꽃이 피었습니다!”라고 하면 술래 아닌 사람은 예수님처럼 양 팔을 펴고 한쪽 다리는 살짝 들어 올린 채 서 있어야 합니다. 넘어질 듯 말 듯 흔들흔들 기우뚱기우뚱하면서 자연스레 “예수님!”을 부르며 좋아하는 손자! 
 
   마침내 제 손자의 작은 가슴에도 예수님 꽃이 피려나 봅니다. 
 
   지금 저는 손자가 그 맑은 목소리로 ‘예수님’을 부르기만 하여도 좋습니다. 조급하게 서두르지 않고 자상한 할머니 내리사랑으로 가정에서도 주님 사랑을 실천하다 보면 차츰 손자도 세례도 받고 주일학교에 가게 되고, 코로나로 쉬고 있는 딸도 외인 사위도 모두 다 주님께서 교회로 이끌어 주시리라 믿습니다. 
 
   주님의 포도나무 가지에 붙어 있기만 한다면 열매 맺지 못할 것이 없습니다. 
 
   주님의 그 자비하신 사랑 안에 머물기만 한다면 이루지 못할 것이 없습니다.
 
   올해는 ‘성체와 말씀의 해!’
   가족과 함께 미사에 참례하고, 성경도 읽고, 함께 기도하며 집안 가득 예수님 꽃을 피우고 싶습니다. 조금 늦고 더디더라도 어린아이가 자라나듯 저희의 믿음도 하느님의 뜻대로 성장해 나가기를 기도하며 소망해 봅니다. 아멘.
호수 제목 글쓴이
2765호 2023. 7. 9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최순덕 세실리아 
2635호 2021.01.24  하느님 세상의 미래는 아이들! 최범진 헬레나 
2609호 2020.08.09  하느님의 바람 최고은 소피아 
2380호 2016.05.01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우리 성당 주일학교를 소개합니다 청소년사목국 
2390호 2016.07.10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부산교구 청소년사목국의 청년들 청소년사목국 
2653호 2021.05.30  지구 청소년·청년 위원회(지청위) file 청소년사목국 
2426호 2017.03.19  “의로움의 열매는 평화를 이루는 이들을 위하여 평화 속에서 심어집니다.”(야고 3, 18) 차광준 신부 
2446호 2017.08.06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차광준 신부 
2474호 2018.02.04  “다른 이웃 고을들을 찾아가자. 그곳에도 내가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마르 1,38) 차광준 신부 
2495호 2018.07.01  “불법체류자? 불법인 사람은 없습니다.” 차광준 신부 
2514호 2018.11.11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차광준 신부 
2345호 2015.09.13  낯선 곳에서 산다는 것 지은주 아델라 
2409호 2016.11.20  주님, 제가 여기 있습니다. 조원근 마르티노 
2509호 2018.10.07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조수선 안나 
2687호 2022. 1. 9  예수님 꽃 피우기 조수선 안나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298호 2014.11.02  정체성 찾기 조삼제 F.하비에르 
2719호 2022. 8. 21  “누가 우리의 이웃일까요?” 조광우 신부 
2762호 2023. 6. 18  친교의 길 조광우 신부 
2442호 2017.07.09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정효모 베드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