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알쏭달쏭합니다

 

159. 신앙을 강요할 수 있습니까아이가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유아세례를 주지 않겠습니다.

160. 곧 세례 받을 날이 다가오는데 교리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영세를 미루어야 할까요?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162. 퇴장 성가로써 미사가 종료된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러면 신자들도 퇴장할 수 있지 않나요그런데 영광송으로 다시 마침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163. 저희 본당은 해설자의 멘트가 없이 침묵시간을 갖습니다왜 타 본당에서는 매일미사에 있는 묵상글을 읽거나 음악 연주 등으로 침묵 시간을 빼앗는지요좋은 말과 음악이 묵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예수님과의 대화시간을 없애는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166. 그리스도인은 세례로써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계속 고해성사를 통해서 죄를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하느님의 구원이 은총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로 얻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아마도 소제병 하나마다 예수님의 얼굴이 새겨진 것으로 생각하고 두 분의 예수님을 모신 것으로 오해하시는 듯합니다.
유대인들은 축제 회식이나 일반식사에서 가장이 한 덩어리의 둥글고 큰 빵을 들고 찬양기도를 바친 후에 식탁에 앉은 이들에게 나눠줬습니다.
이 행위는 가족 간의 사랑과 일치의 표지였지요.
이런 전통이 초대교회에서 빵 나눔을 미사의 대표적 명칭으로 사용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게 했습니다.
우리가 떼는 빵은 그리스도의 몸에 동참하는 것이며 빵이 하나이므로 우리는 여럿일지라도 한 몸인 것은 우리 모두 한 빵을 함께 나누기 때문”(1코린 10,16-17)이라는 성경말씀은 미사 중에 큰 빵을 쪼개어 나눈 사실을 밝히는데요. 미사의 참석인원이 많아지면서 전례 중에 빵을 쪼개는 일이 불가능해졌고, 8-9세기경부터 지금과 같은 소제병, 동전 크기의 작은 빵을 사용하였습니다.
쉽게 말해서 전례 중에 빵을 떼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미리 쪼개어 놓은 것입니다.
빵은 사제의 축성으로 그리스도의 몸이 됩니다.
그 빵이 작던 크던 상관없고, 조각이 나든 몇 개이든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모두가 그리스도의 한 몸을 나누어 모신다는 사실만이 중요하지요.
당황할 일도 분심 들 일도 아니니 정성된 마음으로 그리스도와 하나 되는 삶의 축복에만 집중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301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6
300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299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98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0 65
297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 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6 65
296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7 64
295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63
294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 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3
293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292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2 63
291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4 63
290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8 62
289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0 62
288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1
287 142. 사제를 마음 속으로 사랑하는 것도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1 59
»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8
285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6 57
284 장재봉신부님의 소곤소곤 가톨릭부산 2021.07.19 57
283 9.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9 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