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05,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알쏭달쏭합니다

 

159. 신앙을 강요할 수 있습니까아이가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유아세례를 주지 않겠습니다.

160. 곧 세례 받을 날이 다가오는데 교리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영세를 미루어야 할까요?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162. 퇴장 성가로써 미사가 종료된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러면 신자들도 퇴장할 수 있지 않나요그런데 영광송으로 다시 마침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163. 저희 본당은 해설자의 멘트가 없이 침묵시간을 갖습니다왜 타 본당에서는 매일미사에 있는 묵상글을 읽거나 음악 연주 등으로 침묵 시간을 빼앗는지요좋은 말과 음악이 묵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예수님과의 대화시간을 없애는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166. 그리스도인은 세례로써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계속 고해성사를 통해서 죄를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하느님의 구원이 은총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로 얻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아마도 소제병 하나마다 예수님의 얼굴이 새겨진 것으로 생각하고 두 분의 예수님을 모신 것으로 오해하시는 듯합니다.
유대인들은 축제 회식이나 일반식사에서 가장이 한 덩어리의 둥글고 큰 빵을 들고 찬양기도를 바친 후에 식탁에 앉은 이들에게 나눠줬습니다.
이 행위는 가족 간의 사랑과 일치의 표지였지요.
이런 전통이 초대교회에서 빵 나눔을 미사의 대표적 명칭으로 사용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게 했습니다.
우리가 떼는 빵은 그리스도의 몸에 동참하는 것이며 빵이 하나이므로 우리는 여럿일지라도 한 몸인 것은 우리 모두 한 빵을 함께 나누기 때문”(1코린 10,16-17)이라는 성경말씀은 미사 중에 큰 빵을 쪼개어 나눈 사실을 밝히는데요. 미사의 참석인원이 많아지면서 전례 중에 빵을 쪼개는 일이 불가능해졌고, 8-9세기경부터 지금과 같은 소제병, 동전 크기의 작은 빵을 사용하였습니다.
쉽게 말해서 전례 중에 빵을 떼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미리 쪼개어 놓은 것입니다.
빵은 사제의 축성으로 그리스도의 몸이 됩니다.
그 빵이 작던 크던 상관없고, 조각이 나든 몇 개이든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모두가 그리스도의 한 몸을 나누어 모신다는 사실만이 중요하지요.
당황할 일도 분심 들 일도 아니니 정성된 마음으로 그리스도와 하나 되는 삶의 축복에만 집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