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애매 모호 합니다.

 

150. 미사의 독서와 복음의 선택 기준이 무엇입니까? (문제 27)

151. 성경에서 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들을 천대하는 이유가 무엇이지요같은 동족이 아닌가요?

152. 독서 후에 낭독자가 주님의 말씀입니다라고 하면 모두 하느님 감사합니다.”라고 응답하는 반면에 복음이 낭독된 후에는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28)

153. 미사 중에 복음말씀을 사제와 전 신자들이 함께 읽는 본당이 있던데요옳습니까?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문제 29)

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문제 30)

157. “기복적인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야베츠는 복을 빌어 응답받지 않았습니까복을 얻어 복을 끼치고 살면 좋지 않습니까?

158. 사순절(四旬節)이 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인가요?

(문제 31)
 

158. 사순절(四旬節)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인가요?

 

사순절은 재의 수요일로부터 성 목요일까지로 40일이 아니라 정확히 44일입니다.
원래 사순 제1주일부터 40일을 꼽았는데 시작하는 첫 날이 주일인 관계로 사순 제1주일 직전 수요일에 사순절을 시작합니다.
40
이라는 숫자는
하느님께서
40주야 동안 비를 내리신 노아의 홍수사건(창세 7장 참조).
이후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40년 동안 유랑 생활을 한 사실,
십계명을 받기 위해 모세가 40일을 시나이 산에서 머물렀던 기간(탈출 24,18 참조).
엘리야가 하느님의 계시를 받기 위해 호렙 산에서 40일을 보낸 일들이 대표적입니다(1열왕 19,8 참조).
이를 통해 성경은 40이란 숫자를 구 세대가 지나가고 새 세대가 열리는 의미로 사용한 것을 알게 됩니다.
신약도 광야에서 40일 동안 단식하신 예수님의 모습을 전하고 부활 후 40일 만에 승천하신 것으로 표현했는데요. 이에 40이라는 숫자에 매일 것이 아니라 40이 뜻하는 상징의 의미를 새겨야 할 것입니다.
40
이란 하느님을 만나기 위해서 갖는 정화의 기간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교회는 온 그리스도인들이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도록 하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며 사명이기에 최선을 쏟습니다.
때문에 최소한 40일을 진실된 속죄, 보속, 참회, 쇄신의 기간으로 봉헌할 것을 규정한 것입니다.
주님을 만나기를 소원하는 때가 사순절입니다.

 

문제 31 사순절(四旬節)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 인가요?

 

31-1) 사순절은 재의 수요일로부터 성목요일까지 40일간 성삼일을 준비하는 참회의 기간입니다. 신약에 광야에서 40일 동안 단식하신 예수님의 모습을 전하고 부활 후 40일 만에 승천하셨습니다. 40이란 숫자는 구약에서도 40주야 내린 비로인한 노아홍수, 이스라엘 40년 유랑생활, 십계명을 받기 위한 모세의 시나이 산 40, 엘리아 호렙산의 40일 등 여러 번 언급이 됩니다. 이 사건의 시작과 결과를 통해 성경은 40이란 숫자가 어떤 의미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어떤 의미는 무엇입니까?

) 구세대가 지나가고 새 세대가 열림.

 

31-2) 사순시간 동안 40이란 숫자보다는 뜻을 상징하는 의미를 새겨야 합니다. 교회는 온 그리스도인들이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도록 하는 것이 소명이기 때문에 최소한 40일을 진실된 ( ), ( ), ( ), ( )의 기간으로 봉헌할 것을 규정한 것입니다.
여기에서 ( )에 들어갈 말들은 무엇입니까?

) 속죄, 보속, 참회, 쇄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143. 하느님께서는 왜 모든 사람을 이쁘게 만들지 않고 저처럼 못난 사람을 섞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1 16
121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3 16
120 323. 미사참례 중에 다리를 포개고 앉아 있는 교우를 흔히 봅니다. 어른 앞에서도 그러지 않는데, 하물며 하느님의 제사에 참례하면서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지…… 꾸짖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7 15
119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8 15
118 237. 독서자 중에 ‘하느님’을 ‘하나님’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있던데 괜찮은가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문제 40)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5
117 216.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 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5
116 196. 뚜렷한 죄가 생각나지 않아 “이 밖에 생각 못한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하니 신부님께서 “죄가 없는데 왜 왔소 가소”라고 해서 급히 나오느라 성사표를 넣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115 193.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생전에 주기적으로 자기 몸에 채찍질을 가하고 땅바닥에서 잠을 자는 등, 갖가지 고행과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셨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열심한 신앙 행위에는 그런 고행이 꼭 필요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5
114 189. 아버님께 대세를 주고 본당에 병자성사를 청했는데 대세자는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유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5
113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112 150. 미사의 독서와 복음의 선택 기준이 무엇입니까? (문제 2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5
111 140. 현실도피와 성소를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요? '그럴 자격이 있는지’ 의아하고 ‘화려한 것 좋아하고 최신유행을 쫓는 직업을 가진 제가 어떻게 이런 생각을 갖는지’ 의문스러울 뿐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9 15
110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4 15
109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 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 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0 14
108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 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 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4 14
107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106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105 258. 세례 성사 때에 세례명을 정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수호성인께는 어떻게 기도해야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4
104 243. 냉담을 풀고 의무적인 신앙생활을 했는데 이제는 제 십자가도 기꺼이 지겠다는 믿음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직장 때문에 주일에만 성당에 갈 수 있는데요. 제 건강상 월 2회 산악회 등반을 해야 합니다. 어떻게 하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4
103 235. 미사 참례시에 주변 교우분의 지나친 화장품과 염색약, 퍼머약 냄새로 너무너무 고통스럽습니다. 어쩌면 저 혼자 감내해야 할 개인의 체질적인 사안인지 모릅니다만, 대중이 모여 참례하는 미사에서는 지나친 냄새를 피우지 않는 것도 예의라고 생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4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