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 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문제 30)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Jan 04,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4권 아하 그런거군요.” 


 

애매 모호 합니다.

 

150. 미사의 독서와 복음의 선택 기준이 무엇입니까? (문제 27)

151. 성경에서 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들을 천대하는 이유가 무엇이지요같은 동족이 아닌가요?

152. 독서 후에 낭독자가 주님의 말씀입니다라고 하면 모두 하느님 감사합니다.”라고 응답하는 반면에 복음이 낭독된 후에는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28)

153. 미사 중에 복음말씀을 사제와 전 신자들이 함께 읽는 본당이 있던데요옳습니까?

154.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는 야곱의 열두 아들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묵시록의 열두 지파와 창세기에 기록된 야곱의 열두 아들의 이름이 다릅니다이유를 알 수 없어 혼돈스럽습니다.

155. 예수님께서 굳이 열 둘 사도를 뽑으시고 유다의 공백을 마티아 사도로 채운 이유가 무엇인가요(문제 29)

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문제 30)

157. “기복적인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야베츠는 복을 빌어 응답받지 않았습니까복을 얻어 복을 끼치고 살면 좋지 않습니까?

158. 사순절(四旬節)이 숫자 40과 관련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인가요?

(문제 31)
 

156.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 원문에는 낙타가 아니라 밧줄이라던데요.

 

그분의 제자들마저 경악시킨 예수님의 말씀인 만큼 다양한 해석이 있습니다.
우선 낙타’(kamelon)를 뜻하는 그리스어 대신에 밧줄을 뜻하는 kamilon라고 기록된 몇몇 후대의 사본 탓에 밧줄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하지만 학자들은 이것이 극소수의 후대 사본들에 불과하며, 본문의 의미를 합리적으로 조화시키려는 억지이기에 거부합니다.
한편 예수님께서는 옛 예루살렘에 있었던 바늘귀라는 이름의 작은 문을 말씀하신 것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그 문은 아주 작아서 낙타가 짐을 내리고도 겨우 빠져나갈 만큼 좁았던 탓에 이 문을 비유로 사용했을 것이라는 주장이지요.
그러나 이 역시 비유의 날카로움을 중화시키려는 시도로 봅니다.
예수님께서 당신의 주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과장된 표현을 즐겨 사용했던 것을 성경에서 흔히 찾을 수 있습니다.
낙타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알았던 가장 큰 동물이었기에 큰 설득력을 가졌을 것입니다.
때문에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일은 오직 그분의 은총이라는 점, 그 은총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을 전부 버리고 예수님을 따라야 한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영생을 얻는 일에 재물이 결정적인 위험과 장애일 수 있다는 점은 꼭 명심해야 옳겠지요.

 

문제 30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 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요?

 

30-1) 예수님께서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라는 구절처럼 당신의 주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과장된 표현을 즐겨 사용했던 것을 성경에서 흔히 찾을 수 있습니다.
낙타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알았던 가장 큰 동물이었기에 큰 설득력을 가졌을 것입니다. 때문에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일은 오직 그분의 은총이라는 점, 그 은총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을 전부 버리고 예수님을 따라야 한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따라서 영생을 얻는 일에 '( )'이 결정적인 위험과 장애일 수 있다는 점은 꼭 명심해야 옳겠지요.
( )
에 들어갈 말은 무엇입니까?

) 재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