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행복해야지요

140. 현실도피와 성소를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요? '그럴 자격이 있는지’ 의아하고 화려한 것 좋아하고 최신유행을 쫓는 직업을 가진 제가 어떻게 이런 생각을 갖는지’ 의문스러울 뿐입니다.

141. 일주일에 한 번씩 봉성체(奉聖體)를 오시는데 너무 자주 오니까 괜히 부담스럽습니다.

142. 사제를 마음 속으로 사랑하는 것도 잘못입니까?

143. 하느님께서는 왜 모든 사람을 이쁘게 만들지 않고 저처럼 못난 사람을 섞었을까요?

144. 신부님께서 하느님께서는 세상의 단 한 사람나를 만들기 위해서 무척 고심하셨다는 사실은 진리라는 말에 동의합니다하지만 하느님께서는 외모가 빼어난 사람을 골라 뽑으신 경우가 성경에는 많지 않나요?

145. 연옥은 무서운 곳인데 왜 복되다고 말합니까연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146. 예수님께서는 가난하게 살라고 하셨는데 장래를 위해서 저축하는 일은 괜찮은가요?

147. 자영업자입니다성경에서는 안식일에 일을 하면 죄라고 하던데주일에는 영업을 쉬는 게 옳나요?

148. 성당에서 맡은 일이 버겁습니다시간도 능력도 모자란데 하는 수 없이 맡고 보니 겁이 납니다이래도 순명일까요?

149. 주일학교 교사입니다예전과 다른 요즘 아이들을 가르치기가 너무 힘듭니다아이들 마음을 사로잡고 싶습니다좋은 교사가 되는 법을 알려 주십시오.

 
145. 연옥은 무서운 곳인데 왜 복되다고 말합니까? 연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많은 교우들께서 연옥을 반() 지옥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연옥은 하느님의 자비심으로 얻어진 복된 곳이 분명합니다.
하느님의 은총 안에서 죽었으나 완전히 깨끗하지 못한 영혼들을 위한 정화의 장소이며 천당과 지옥의 갈림길에서 버틸 수 없는 허약한 죄인들을 위한 기회의 자리이니까요.
구원을 보장받았으나 천국에 들어갈 준비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곳이기에 모든 영혼들이 순결한 신부로써 신랑 예수 그리스도와 온전히 결합되기 위해서 단장하는 기간이며 장소라고 설명 드리겠습니다.
그러나 연옥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천당으로 들어가는 것이 가장 큰 축복입니다.
때문에 연옥을 거치지 않고 천국으로 가는 문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
이야말로 하느님의 간절한 소원이지요.
천국은 하느님과의 열렬한 사랑이 가득한 곳입니다.
천국 입성 자격은 인간을 사랑하시고 당신 자신을 온전히 내어 주시는 하느님의 사랑을 받아들이는 일이 첫 번째 조건입니다.
하느님의 사랑을 믿는 일이 신앙의 전부입니다.
사랑이신 하느님을 사랑하고, 자신과 이웃, 나아가 자연과 우주를 그분의 마음으로 사랑한다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자격이 충분합니다.
나중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연옥단련을 겪는 각오로써 온 마음과 생각을 다해 사랑과 희생을 살아가는 일이 천국으로 직행하는 비결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 장재봉 신부님의 <소곤소곤 얼추 알겠습니다>에 부쳐(천주교 전주교구 교구장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1 20
161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3 20
160 아뢰는 말씀(1권, 2008 가마골에서)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1 20
159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1 19
158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4 19
157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 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9
156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9
155 242. 두 주일마다 미사에 참석합니다. 성사를 보면서 늘 너무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사정상 미사에 빠질 경우, 주님의 기도를 3단 외우면 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154 241. 세례식이 있던 날, 외부에서 꽃을 구입하지 말고 성당에서 사라는 공지사항이 있었습니다. “교회가 하느님의 존재 자체를 떠나 약자를 도우기 위한 단체”라면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꽃 장사를 돕는 게 당연한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153 218. ‘자비의 예수님’ 성화에는 예수님 가슴에서 붉고 푸른 빛이 나오는 것이 그려져 있는데 어떤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9
» 145. 연옥은 무서운 곳인데 왜 ‘복되다’고 말합니까? 연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9
151 139. 주보를 갖고 오려다 지적을 당했습니다. 본당에 주보가 모자라니, 두고 가라 하던군요. 주보는 교회를 알리는 홍보용이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8 19
150 99. 어른에게도 지루한 성경을 아이에게 권하기가 어렵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1 19
149 90. 묵주기도 중에, 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1 19
148 권하는 글 (천주교 부산교구 교구장 황철수 바오로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8 19
147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 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9 18
146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2 18
145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 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 (문제 4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8
144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 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 (문제 3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8
143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 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8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