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삶이 달라져야죠
132. 황당한 질문입니다만, 조상들이 믿었던 기복적인 천지신명과 지금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 같은 하느님입니까?
133. 연초가 되면 어머니는 스님께 사주를 보러 가십니다. 미래야 살아봐야 알겠지만 지금까지는 다 맞아요. 어떻게 해석해야 하죠?
134. 부처님 오신 날에 ‘세절 밟기’를 하고 온 신자를 봤습니다. 그 날에 세 절 마당을 밟으면 복을 받는다고 하던데, 그래도 되나요?
135 종교 신문의 묘자리 광고에서 “명당자리”라는 문구를 봅니다. 세상의 생각을 그대로 따르는 표현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136. TV에서 가톨릭 신앙인이 무속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영세를 받은 사람에게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137. 시어머니께서 아들 낳는 법이라며 ‘민간요법을 하라’고 권하십니다. 따라야 할까요?
138. 본의 아니게 ‘나주 율리아나’를 방문했습니다. 그곳에 제시된 증거를 부인하기 어렵고, 또 성인들에게는 늘 핍박이 따른다는 그들의 말에 많이 혼돈스러웠습니다.
139. 주보를 갖고 오려다 지적을 당했습니다. 본당에 주보가 모자라니, 두고 가라 하던군요. 주보는 교회를 알리는 홍보용이 아닙니까?
138. 본의 아니게 ‘나주 율리아나’를 방문했습니다. 그곳에 제시된 증거를 부인하기 어렵고, 또 성인들에게는 늘 핍박이 따른다는 그들의 말에 많이 혼돈스러웠습니다.
교회가 금한 종교행위에 참석하여 혼돈을 느끼는 일은 당연합니다.
사탄은 빛의 천사를 가장하는 일에 능숙할 뿐 아니라 우리를 혼돈스럽게 하는 일이 주목적이고 또 그런 수작에 매우 능란하기도 합니다.
우선 “어느 단체가 옳은지에 대해서는 순명의 정신을 보면 된다”는 전통의 격언을 일러드립니다.
나주 율리아나가 교회의 뜻에 순명하지 않는 사실만으로도 ‘갈라지고’ ‘따로 노는’ 사탄의 행태가 뚜렷하니까요.
베드로 사도를 교회의 반석으로 삼으신 주님께서는 교회를 통해서 온 세상의 모든 죄를 풀고 맬 권한을 맡기셨습니다.
교회만이 세상에 주어진 유일한 길이며 생명이고 진리입니다.
때문에 하느님 자녀는 교회의 결정에 순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때문에 성인성녀의 삶은 언제나 우선적인 순명에 있었다는 걸 기억하세요.
그들은 “인간은 하느님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존재”라는 것을 깨달을 때에 승리한다는 진리를 살았습니다.
교회에 대한 순명은 모든 악덕을 이겨내는 가장 빛나는 덕입니다.
때문에 “사악함으로 자신만만하여” 세상을 현혹시키며 “나뿐이다, 나밖에는 없다”라고 생각하는 일이 곧 파멸이며 멸망입니다(이사 47,10-11 참조).
‘본의 아니게’라는 묘한 표현을 털고 잘못된 행위를 어서, 참회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