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삶이 달라져야죠

132. 황당한 질문입니다만조상들이 믿었던 기복적인 천지신명과 지금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 같은 하느님입니까?

133. 연초가 되면 어머니는 스님께 사주를 보러 가십니다미래야 살아봐야 알겠지만 지금까지는 다 맞아요어떻게 해석해야 하죠?

134. 부처님 오신 날에 세절 밟기를 하고 온 신자를 봤습니다그 날에 세 절 마당을 밟으면 복을 받는다고 하던데그래도 되나요?

135 종교 신문의 묘자리 광고에서 명당자리라는 문구를 봅니다세상의 생각을 그대로 따르는 표현이 마땅치가 않습니다.

136. TV에서 가톨릭 신앙인이 무속인으로 살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영세를 받은 사람에게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137. 시어머니께서 아들 낳는 법이라며 민간요법을 하라고 권하십니다따라야 할까요?

138. 본의 아니게 나주 율리아나를 방문했습니다그곳에 제시된 증거를 부인하기 어렵고또 성인들에게는 늘 핍박이 따른다는 그들의 말에 많이 혼돈스러웠습니다.

139. 주보를 갖고 오려다 지적을 당했습니다본당에 주보가 모자라니두고 가라 하던군요주보는 교회를 알리는 홍보용이 아닙니까?

  

137. 시어머니께서 아들 낳는 법이라며 민간요법을 하라고 권하십니다. 따라야 할까요?

자매님은 주님의 뜻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잘 알면서 왜 번민하십니까? 왜 되묻습니까?
자매님의 글을 읽으면서 하느님을 알고 있었음에도 자신의 욕심을 위해 되묻고 되물어 자신의 뜻을 허락받았던 발라암이 생각났습니다.
그는 하느님께서 거부하는 일인 줄 번연히 알면서도 자신의 욕심을 위해서 자꾸만 되물어 마침내 허락을 받아내지만 하느님께서는 노하셨습니다.
나귀가 입을 열어말을 하는 이적으로 당신의 뜻을 분명히 드러내 주셨습니다(민수 22장 참조).
여기에서 우리가 잘못된 일을 선택할 때, 그 자유를 막지 않으시는 하느님의 모습을 봅니다.
민간요법을 통해서 아들을 얻은 후에 무어라고 주님께 감사를 올리실 것인지요? 잘못된 생각으로 이루어진 일을 허락하신 하느님을 찬미할 작정이신지요?
주님의 뜻이 아닌 줄 알기 때문에 싫다고 기도드리시길 강권해 드립니다.
잘못된 시모님의 생각을 일깨워 주실 것을 주님께 청하고 애원하기 바랍니다.
이번 시험을 이겨내어 자매님의 믿음이 견고해지고 시모님의 신앙이 자라날 수 있게 해 달라고 청하세요.
그분의 뜻은 도약과 도전으로 쟁취할 만큼 소중하고 값집니다.
담대한 선포로 온 가족이 참 기쁨의 감사를 바칠 수 있게 해 주실 것입니다.
기도는 가장 좋은 승리를 선물해 줍니다.
하느님은 화평의 주님이십니다. 도전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204. 주위의 반대에도 천주교로 옮겼습니다. 혼자 교리를 받을 때에 외로웠지만 잘 이겨냈지요.^^ “성가는 은총이 두 배”라는 신부님 말씀에 따라 미사에서 소리 높여 성가를 부르다가 “목소리가 너무 크다”는 나무람을 들었습니다. 너무 부끄러웠고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6
341 234. 자식에게 소홀했습니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훌륭한 사제를 삶의 멘토로 정해주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가능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6
340 239. 한 블록 건너 성당과 교회가 판치는 거리에서 돈을 더 벌기 위해 필요하지도 않은 거대한 성당을 짓기보단, 매일 한 끼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기부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6
339 255. 교리시간이나 강론에서는 주님께서는 인간의 나약함을 알고 계심으로 모든 죄를 기꺼이 용서해 주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를 짓더라도 죄의식을 갖지 않고 기쁘게 살아가는 편이 훨씬 복음적이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6
338 285. 하느님에 대해 생각중인 수능 끝난 고3입니다^^ 하느님께서 제 아버지라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편하고 제 주인이신 것도 인정하는 바이지만 제가 하느님의 종이라는 게 약간 거북하게 느껴지더라구요. 자녀와 종, 두 단어의 이질감이 너무 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6
337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6 6
» 137. 시어머니께서 아들 낳는 법이라며 ‘민간요법을 하라’고 권하십니다. 따라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6 7
335 147. 자영업자입니다. 성경에서는 안식일에 일을 하면 죄라고 하던데, 주일에는 영업을 쉬는 게 옳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7
334 178. 성지순례 중 바티칸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님과 함께 ‘안젤루스’ 기도를 바쳤습니다. 이 기도가 삼종 기도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7
333 시편 11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7
332 240. 인류가 진화했다는 모든 증거들이 잘못되고, 다윈은 거짓말쟁입니까? 박물관에 있는 것도 모두 거짓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7
331 253. 일곱 살 조카가 얼마 전부터 개신교에 나갑니다. 그런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천주교인으로 세례를 받게 해야 하는 게 아닐지, 고민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7
330 287.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7
329 129. “시복 시성을 위한 도보순례”라는 조끼를 입고 걷는 단체가 있던데 시복시성이 무엇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7 8
328 188. 선하고 전지전능하신 하느님이 계시다면 왜 이 세상은 선한 사람보다 악한 사람에 의해서 지배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8
327 200. 성령의 말씀과 양심의 소리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습니까? 양심의 소리에 따라 살다 보니 바보가 되는 것 같아서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326 201. 신체를 의과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증하는 일이 민속적으로 부모가 주신 몸을 훼손시킨다는 의미에서 걸립니다. 또 최근의 의학 발달이 과연 주님의 뜻에 따르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라는 말씀에 비춰 내 몸을 사랑하지 않는 결과는 아닐지 망설여집니다. 교리적으로 문제가 없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8
325 215. 성경에는 성모몽소승천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8
324 249.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교회의 주장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을 죄인 취급하니 불쾌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323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