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Dec 14,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야무지게 믿고 싶어요

 

122.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라고 나와 있는데 하느님은 한 분이신 유일신이 아닌가요?

123. 성경에는 어떤 신상도 만들어서는 안 되고 경배하지도 말라”(탈출 20,5) 하는데 성상에 절하고 비는 것은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닌가요? (문제 24)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문제 25)

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127. 본당신부님이 바뀐 후에 단체 운영의 성격과 지침이 달라졌습니다사제에 의해서 교회 단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나요?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129. “시복 시성을 위한 도보순례라는 조끼를 입고 걷는 단체가 있던데 시복시성이 무엇인가요?

130. 혼자 세례를 받았습니다종교가 다른 부모님의 반대가 심한데 어찌해야 할까요?

131. 묵은 신자입니다하지만 전례 중에 앉고 일어서는 이유를 모른 채 따라서 합니다부끄럽지만 용기를 냈습니다.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모든 성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행적에 그 원천을 둡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죄 때문에 인간이 되어 오셨고, 특히 십자가상의 제사로써 인간의 죄를 대속하셨습니다.
하늘도 땅도 아닌 공중에 매달리심으로써 인류를 하느님과 화해시키셨습니다이 화해야말로 예수님의 소망이며 그리스도께서 설정하신 고해성사의 핵심이지요.
성경에서 예수님께서 아버지와 죄인들의 화해를 위한 중재자로서의 역할만이 아니라, 직접 죄인들을 만나 당신의 권위로써 죄인들을 용서하는 분이라는 사실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마태 9,2-13; 루카 5,17-26; 7,36-50; 19,1-10; 23,39-43; 요한 4,6-42; 8,1-11 참조).
나아가 예수님께서는 죄의 속박에서 풀어주고 매어놓는 권한을 사도들에게 주신 사실도 명백합니다(마태 16,19-20; 18,11-18 참조).
부활 후 제자들에게 나타나시어 죄를 사하는 참된 권한을 부여해 주신 (요한 20,21-23 참조) 크신 하느님을 찬미합니다.
사도를 통한 죄의 용서는 교회의 전통 안에서 사제를 통해서 지금도 이어지는데요. 한낱 죄인에 불과한 인간이 하느님의 큰 은총에 힘입어 죄를 사해주는 사제로 살아간다는 것은 놀라운 신비이지요.
인간을 용서하시는 하느님의 사랑을 곁에서 목격하는 행복이 사제의 힘입니다. 어서오세요.

 

문제 26 사제에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문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26-1) 고해성사는 신자가 범한 죄를 참회할 때 사제가 예수 그리스도의 권한을 대신하여 그 죄를 사해 주는 성사를 말합니다.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성경의 확실한 근거는 요한복음 20장에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 제자들에게 나타나시어 사명을 부여하셨습니다. 성령을 받아라.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용서해 주면 그가 용서를 받을 것이고 그대로 두면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라는 말씀의 근거에 의해 그리스도로부터 사도들을 거쳐 사제들에게 계승되었습니다.
그러면 확실한 근거가 되는 성경의 말씀은 요한복음 20장 몇 절에 나옵니까?

) 20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