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Dec 13,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82.221.54.106) 조회 수 2 댓글 0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야무지게 믿고 싶어요

 

122.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라고 나와 있는데 하느님은 한 분이신 유일신이 아닌가요?

123. 성경에는 어떤 신상도 만들어서는 안 되고 경배하지도 말라”(탈출 20,5) 하는데 성상에 절하고 비는 것은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닌가요? (문제 24)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문제 25)

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127. 본당신부님이 바뀐 후에 단체 운영의 성격과 지침이 달라졌습니다사제에 의해서 교회 단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나요?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129. “시복 시성을 위한 도보순례라는 조끼를 입고 걷는 단체가 있던데 시복시성이 무엇인가요?

130. 혼자 세례를 받았습니다종교가 다른 부모님의 반대가 심한데 어찌해야 할까요?

131. 묵은 신자입니다하지만 전례 중에 앉고 일어서는 이유를 모른 채 따라서 합니다부끄럽지만 용기를 냈습니다.
 

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고해성사의 유효성을 위해서 완전한 통회가 요구되지는 않습니다.
통회는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결심이며 영혼에게 고통을 주는 죄에 대한 저항입니다.
통회의 마음을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받아들이십니다.
불완전한 통회가 회개의 의미를 충분히 충족시키지는 못하지만 죄에 대한 단절을 원하고 하느님을 향해서 돌아서려는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교회는 마음 안에 정의의 샘이신 하느님을 향한 사랑의 씨앗과 원리를 가진 점을 인정하여 완전한 통회가 아니어도 통회의 효과(죄들의 용서)와 죄인에 대한 사죄를 통해서 주어지는 사랑과 은총의 선물을 허락합니다.
선물의 은총으로 꼭 완전한 통회에 이를 것을 교회는 믿는 것이지요.
통회는 저지른 죄에 대한 푸념도 한탄도 아닌 되고 총체적으로 살아낼약속의 다짐이지만 이를 넘어선 은총에 바탕을 둔 구원적 가치를 더욱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하지만 용서의 차원에서는 모자랍니다용서는 완전한 통회를 전제로 하니까요.
고백이란 두려움이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에 상처를 준 것을 가슴 아파하는 일이며, 자신이 얻은 상처를 주님 사랑으로 치유 받는 은혜의 시간이니 무조건 통회를 시작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성사 집전자들이 신자들의 양심이 불완전한 통회에 머물지 않고 성숙에로 나아가도록 이끌어 주고 있으니 염려 놓으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