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하느님은 아십니다.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112. 예비신자입니다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문제 22)

114. 식당에서 외인들과 식사할 때혼자서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마음 속으로만 기도하면 안 되나요?

115. 주일 헌금 봉사자입니다십여 년 동안 똑같은 헌금액수가 심히 민망합니다주일헌금에 관한 적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문제 23)

116. 지난 호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제 글이 을 강조한 양 여겨져 마음이 상하신 듯 싶어 진실로 송구합니다.
봉헌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아끼고 아끼는 귀한 손길이 계신 것을 결코 모르지 않습니다.
(맘몬)을 하느님과 함께 섬길 수 없다는 점도 분명합니다.
하지만 두 렙돈을 바친 과부에 대해서 곡해하는 듯 싶네요.
이를 통한 이르심은 가난하니까 조금 내는 일이 마땅하다거나 적게 내는게 옳다는 뜻은 아니니까요. 과부는 가진 것 전부를 바쳤고 그것이 하느님을 향한 최선이었기에 칭찬을 들었습니다.
주님께서는 주인되신 하느님을 향한 최선의 마음을 우리에게 원하신다는 뜻입니다.
하나만 덧붙일까요?
가난한 이는 하느님 앞에서 구별되는 부류가 아니라 똑같은 자녀입니다.
그런데 가난하다는 이유로 그 만큼이면 족하다고 하고, 그 만큼이면 됐다고 선을 그어준다면 이야말로 그들의 최선을 막는 가진 자의 월권입니다.
주님은 가난한 이를 역성드는 척했던 유다보다 삼백 데나리온 어치의 향유를 쏟아 버린 마리아를 어여뻐하셨습니다.
교회는 헌금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한 마음을 담을 것을 권합니다.
다만 부모보다, 자녀보다, 가난한 이보다 하느님을 우선한다면, “아무것도 아까울 것이 없다는 고백이라면 누구든, 떳떳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114. 식당에서 외인들과 식사할 때, 혼자서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마음 속으로만 기도하면 안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9 135
241 115. 주일 헌금 봉사자입니다. 십여 년 동안 똑같은 헌금액수가 심히 민망합니다. 주일헌금에 관한 적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문제 23) 월평모힐라리오 2021.11.30 126
»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1 27
239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3 16
238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 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5 18
237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 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6 12
236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7 11
235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 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8 18
234 122.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라고 나와 있는데 하느님은 한 분이신 유일신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9 94
233 123. 성경에는 “어떤 신상도 만들어서는 안 되고 경배하지도 말라”(탈출 20,5) 하는데 성상에 절하고 비는 것은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닌가요? (문제 24)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0 25
232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문제 25)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1 42
231 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3 12
230 126.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밝힌 성경의 말씀 부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문제 26)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4 15
229 127. 본당신부님이 바뀐 후에 단체 운영의 성격과 지침이 달라졌습니다. 사제에 의해서 교회 단체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5 14
228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 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6 41
227 129. “시복 시성을 위한 도보순례”라는 조끼를 입고 걷는 단체가 있던데 시복시성이 무엇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7 8
226 130. 혼자 세례를 받았습니다. 종교가 다른 부모님의 반대가 심한데 어찌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8 23
225 131. 묵은 신자입니다. 하지만 전례 중에 앉고 일어서는 이유를 모른 채 따라서 합니다. 부끄럽지만 용기를 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0 12
224 132. 황당한 질문입니다만, 조상들이 믿었던 기복적인 천지신명과 지금 우리가 믿는 하느님이 같은 하느님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1 10
223 133. 연초가 되면 어머니는 스님께 사주를 보러 가십니다. 미래야 살아봐야 알겠지만 지금까지는 다 맞아요. 어떻게 해석해야 하죠?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2 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