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하느님은 아십니다.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112. 예비신자입니다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문제 22)

114. 식당에서 외인들과 식사할 때혼자서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마음 속으로만 기도하면 안 되나요?

115. 주일 헌금 봉사자입니다십여 년 동안 똑같은 헌금액수가 심히 민망합니다주일헌금에 관한 적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문제 23)

116. 지난 호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제 글이 을 강조한 양 여겨져 마음이 상하신 듯 싶어 진실로 송구합니다.
봉헌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아끼고 아끼는 귀한 손길이 계신 것을 결코 모르지 않습니다.
(맘몬)을 하느님과 함께 섬길 수 없다는 점도 분명합니다.
하지만 두 렙돈을 바친 과부에 대해서 곡해하는 듯 싶네요.
이를 통한 이르심은 가난하니까 조금 내는 일이 마땅하다거나 적게 내는게 옳다는 뜻은 아니니까요. 과부는 가진 것 전부를 바쳤고 그것이 하느님을 향한 최선이었기에 칭찬을 들었습니다.
주님께서는 주인되신 하느님을 향한 최선의 마음을 우리에게 원하신다는 뜻입니다.
하나만 덧붙일까요?
가난한 이는 하느님 앞에서 구별되는 부류가 아니라 똑같은 자녀입니다.
그런데 가난하다는 이유로 그 만큼이면 족하다고 하고, 그 만큼이면 됐다고 선을 그어준다면 이야말로 그들의 최선을 막는 가진 자의 월권입니다.
주님은 가난한 이를 역성드는 척했던 유다보다 삼백 데나리온 어치의 향유를 쏟아 버린 마리아를 어여뻐하셨습니다.
교회는 헌금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한 마음을 담을 것을 권합니다.
다만 부모보다, 자녀보다, 가난한 이보다 하느님을 우선한다면, “아무것도 아까울 것이 없다는 고백이라면 누구든, 떳떳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187. 오래 전에 성당 건축헌금을 약속했는데 이후에 냉담했습니다. 이사를 해서 본당도 바뀌고 세월도 많이 지났지만 주님의 것을 떼어 먹은 느낌 탓에 찝찝합니다. 하느님 것을 가로챈 것만 같은 마음의 짐을 털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23
181 281. 하느님께 기도를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예비신자이니, 쉽게 설명해 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3
180 283.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3
179 319.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 “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 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3 23
178 한 말씀 올립니다 (2008년 안식년 끝자락에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9 24
177 246. 요즘 아기 백일에 삼신상을 차려서 삼신할머니께 비는 것이 유행입니다. 우리의 전통풍습이니 이벤트행사로 해주고 싶습니다. 기도이니까 괜찮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4
176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 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 고쳐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24
175 123. 성경에는 “어떤 신상도 만들어서는 안 되고 경배하지도 말라”(탈출 20,5) 하는데 성상에 절하고 비는 것은 말씀을 거역하는 것이 아닌가요? (문제 24)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0 25
174 152. 독서 후에 낭독자가 “주님의 말씀입니다”라고 하면 모두 “하느님 감사합니다.”라고 응답하는 반면에 복음이 낭독된 후에는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2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25
173 165. 신부님의 설명대로라면 세례명을 바꿀 기회는 영영 없는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25
172 212. 성탄절과 다르게 부활절은 매년마다 날짜가 바뀌는데 그 날짜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제 3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6
171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 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8 26
170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0 27
»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1 27
168 244. 주일 미사에 빠졌으면서도 뻔뻔스럽게 성체를 영하는 신자들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할 듯하여 건의합니다. 성사를 봐야 한다고 슬쩍 일러주어도 못들은 척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속이 상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27
167 81. 향주삼덕을 통하여 하느님과 일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 방법을 일러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1 28
166 170. 개신교 신자가 예수님께 바로 기도하지 않고 성모님을 통해 기도하는 것은 우상숭배라고 합니다. 뭐라고 설명할까요? (문제 3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28
165 236. 사정상 다른 본당 미사에 참석했다가 ‘명찰을 달지 않았다’고 지적을 당했습니다. 명찰을 갖고 다닐 수는 없잖아요? 이제 본당 미사가 아니면 참석하지 못하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28
164 290. 엠티에서 남녀가 함께 하는 게임벌칙이 무척 민망했습니다. 벌칙에 반대하니까 별나게 군다며 친구들이 아우성을 쳐서 난감했습니다. 속 좁고, 구식으로 보이기가 싫었지만 그런 벌칙에 응하는 것은 신앙인의 태도가 아니라서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말세의 징조 같았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28
163 320.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복음서에 세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보고 고민이 됩니다. 세무관련 직업이 자본주의의 핵심에 해당되고 왠지 주님께서 그리 좋아하지 않으실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4 28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