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하느님은 아십니다.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112. 예비신자입니다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문제 22)

114. 식당에서 외인들과 식사할 때혼자서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마음 속으로만 기도하면 안 되나요?

115. 주일 헌금 봉사자입니다십여 년 동안 똑같은 헌금액수가 심히 민망합니다주일헌금에 관한 적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문제 23)

116. 지난 호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간절한 소망으로 교회를 찾은 분이신데, 적잖이 당황하셨을 듯싶어 송구합니다.
땅의 인간이 하늘에 계신 하느님께 찬미를 올리고 감사하는 마음이 기도인데, 규격화 된 모양이 있을 수 없습니다.
하느님께 간절한 소망을 아뢰고 청하는 일에는 무엇보다 마음을 모으는 일이 최고이니까요.
다만 가톨릭 전례의 모든 행위는 오른 손으로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내 탓이오라고 가슴을 칠 때에나 성체를 집는 손도 모두 오른손을 사용할 것을 권하지요.
가톨릭교회는 두 손을 모으고 오른쪽 엄지를 왼쪽 엄지 위에 두는 손 모양을 전통적으로 가르칩니다.
두 손을 모으는 행위는 하느님과 자신이 하나 된 일치를 소망하며 자신의 마음을 차분히 하느님께 모아 올린다는 표현입니다.
성경은 하느님의 능력을 그분의 오른 팔에 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주님의 오른손으로 악의 힘을 눌러이길 수 있다는 성서적이고 전례적인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오른 손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라면 전혀 무관합니다.
단정한 자세처럼, 마음도 가지런히 다듬어 더 아름다운 기도로 채워 가는 계기로 삼기 바랍니다.
신부님께서 전례의 손 모양에 익숙하여 전례의 분위기에 겉돌지 않게 배려하신 것이니 더 정진하십시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감사합니다.(5권, ‘복의 통로’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
361 감사하고 사랑하는 삶을 위하여(5권, 부산교구 총대리 손 삼 석 요셉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
360 286. 부모님들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 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반 학기가 다 지나간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
359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 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2
358 신앙의 산을 함께 오르며.…(‘복의 통로’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2
357 아직도 수북한 우리들의 이야기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3
356 권하는 글: <소곤소곤, 아하, 그런거군요!>의 발간을 축하드리며 (전 의정부교구장 이한택 요셉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3
355 202. 학원 강사입니다. 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3
354 292.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3
353 231. 전교를 하는 중입니다. 입교를 원한다면서도 자꾸만 “개종하면 꼭 안 좋은 일이 생긴다”며 망설이기만 하니 속에 열불이 납니다. 어떻게 설득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4
352 326.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2 4
351 157. “기복적인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야베츠는 복을 빌어 응답받지 않았습니까? 복을 얻어 복을 끼치고 살면 좋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5
350 221.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은 이해되지만, 예수님도 사람들의 잘못을 냉정하게 나무라지 않았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5
349 224.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우리 아버지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5
348 238. 고3 여학생입니다. 과학이 하느님께서 만들어 놓은 것을 발견한 것에 불과하다는 신부님의 말씀과 그들을 낮추어보는 듯한 표현이 불편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5
347 259. 성탄절을 왜 크리스마스라고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5
346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 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5
345 313. 2021년은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희년이 선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희년을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7 5
344 144. 신부님께서 “하느님께서는 세상의 단 한 사람, 나를 만들기 위해서 무척 고심하셨다는 사실은 진리”라는 말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하느님께서는 외모가 빼어난 사람을 골라 뽑으신 경우가 성경에는 많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3 6
343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 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