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3얼추 알겠습니다.”
 

 하느님은 아십니다.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113. 지난 521일 대법원의 존엄사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문제 22)

114. 식당에서 외인들과 식사할 때, 혼자서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마음 속으로만 기도하면 안 되나요?

115. 주일 헌금 봉사자입니다. 십여 년 동안 똑같은 헌금액수가 심히 민망합니다. 주일헌금에 관한 적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문제 23)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 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 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 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성령의 일깨우심에 깨어있고 성령의 도우심에 열려있는 교회는 거듭, 새로운 가르침을 전합니다.
모두 신자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지요. 그럼에도 자신의 생각에 갇혀 교회의 일을 판단하는 신자를 보면 난감하고 안타깝습니다.
성체의 효력은 분배하는 사람에 의해서 가감되거나 변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두움을 밝히는 빛이 소중할 뿐, 등불을 옮기는 사람이 중요하지 않듯이 성체를 분배하는 이는 모두 주님의 도구일 뿐입니다.
성체로 오시는 예수님께서는 모든 이들의 일치를 원하며 우리 안에 임하십니다.
그런데 자신의 생각에 묶여, 굳은 마음으로 성체로 오시는 그분을 모실 때, 주님의 마음이 어떠실지요?
성령의 새 바람을 기쁨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마음은 교회의 걸림돌입니다. 잘못된 신앙심은 아무 쓸모없는 소금덩어리에 불과합니다.
물론 거룩한 성사로 축성된 손에 의해서 성체를 받고 싶은 마음인 줄 이해합니다. 사제에 대한 존경심인 줄도 알겠습니다. 하지만 사제에 대한 지나친 공경심이나 그릇된 섬김의 모습들은 주님께도 사제에게도 장애물이라는 사실을 감히 고백합니다.
사제도 평신도도 똑같은 하느님의 자녀이며 일꾼입니다.
이 기회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느끼면서도 교회의 요청에 순명하는 마음으로 겸손되이 성체 분배를 위해 헌신하는 분들께 감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301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6
300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299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98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0 65
297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 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6 65
296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7 64
295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63
294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 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3
»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292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2 63
291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4 63
290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8 62
289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0 62
288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1
287 142. 사제를 마음 속으로 사랑하는 것도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1 59
286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8
285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6 57
284 장재봉신부님의 소곤소곤 가톨릭부산 2021.07.19 57
283 9.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9 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