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Nov 23,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알고 합시다.

100. 교중(敎中미사는 무엇이 다른가요(문제 18)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왜 그렇게 하나요?

108. 성체와 성혈이 거행될 때대부분 고개를 숙이거나 간혹 오래된 신자나 연세가 드신 분들 중에 성체성혈을 바라보며 무어라고 중얼중얼 말하는 것을 봅니다어떤 자세가 옳은가요?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110. 성시간의 의미와 자세를 알고 싶어요. (문제 21)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결단코, 전례는 신부님의 취향이나 생각에 따라서 변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드립니다.
질문의 뜻이 전례방식이 달라진 것이 아니라, 전임 신부님과 다른 전례동작이나 행위를 권하신 것이라 싶습니다.
교회는 하나입니다.
전례는 로마 미사 전례서와 그 총 지침서에 따라 거행해야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전례의 고착화나 획일화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교회는 세계의 전 지역과 민족, 혹은 단체의 훌륭한 정신적 유산을 보호하고 육성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자 힘쓰니까요.
명절에 조상을 위한 차례미사가 허용된 일이나 아프리카와 남미사람들의 낙천적인 정서를 살려 춤추듯 하느님을 찬양하며 기쁨과 감사를 표현하는 미사가 허용된 것이 그 예입니다.
이는 로마 전례의 본질적인 통일성을 보존하되, 신앙이나 공동선에 위배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다양성과 토착화를 인정하고 공동체 전체가 완전하고 능동적이며 공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교회 노력의 결실입니다.
아마도 신부님께서는 본당의 특색을 살리고 교우님들의 신앙생활을 북돋워주기 위해서 고심하셨을 것입니다.
전례란 결코 성직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하느님 백성인 우리 모두가 주체인 사실을 기억한다면 기꺼이 따를 수 있겠지요.
우리는 전 세계의 교회가 동일한 전례를 거행하는 가톨릭교회이니, 염려 놓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