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알고 합시다.

100. 교중(敎中미사는 무엇이 다른가요(문제 18)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왜 그렇게 하나요?

108. 성체와 성혈이 거행될 때대부분 고개를 숙이거나 간혹 오래된 신자나 연세가 드신 분들 중에 성체성혈을 바라보며 무어라고 중얼중얼 말하는 것을 봅니다어떤 자세가 옳은가요?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110. 성시간의 의미와 자세를 알고 싶어요. (문제 21)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전례의 중심은 제대라 하면서도, 성당의 중심은 감실이라 생각하는 분이 의외로 많습니다.
예수님의 몸인 성체를 공경하는 모습이기에 의례 그러려니 하는 것일까요?
중세 이후, 교회 안에 자리한 성체 신심운동이 감실의 중요성을 일깨운 덕이기도 하겠지요.
그럼에도 감실은 병자, 혹은 개인적 사정으로 미사에 참여하지 못한 신자에게 성체를 영해 주기 위한 방편입니다.
물론 미사에서 남은 성체를 보관하고, 미사 중에 신자들을 위한 제병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는 의미도 있습니다.
교회는 감실을 성당 안에 감실경당을 만들어 따로 안치할 것을 권하고 부득이 경당을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제대의 중앙 자리를 비켜 위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요.
교회가 감실의 위치를 현명하게 배치할 것을 권하는 이유는 제대의 중요성이 감실의 중요성에 밀려 감소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성당의 축성예식 때에도 제대가 으뜸이 되고 성당을 허물고 재건축을 할 경우, 꼭 제대가 있던 자리를 보존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이유입니다.
제대는 하느님과 인간이 만나는 장소, 성찬례를 거행함으로써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과 인간이 맺은 구원의 계약을 갱신하는 자리입니다.
그리고 성당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정점이며 원천인 성찬례 거행을 위한 건물입니다.
따라서 제대는 미사와 무관하게 항상 성당의 중심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6
300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299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98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0 65
297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 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6 65
296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7 64
295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63
294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 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3
293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292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2 63
291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4 63
290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8 62
289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0 62
288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1
287 142. 사제를 마음 속으로 사랑하는 것도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1 59
286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8
285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6 57
284 장재봉신부님의 소곤소곤 가톨릭부산 2021.07.19 57
283 9.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9 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